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2025년 부동산분양이 역대 최소라고 하는데요. 그럼 집값이 상승하나요?

2025년 부동산분양이 역대 최소라고 하는데요. 그럼 집값이 상승하나요? 아니면 경기침체로 인해 대출받은사람들이나 차익실현 매물 등으로 하락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공급이 축소되면 가격이 오르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지만, 내년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취임하며 우리나라의 경제상황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어서 예측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관세장벽과 더불어 금리 인하를 하겠다고 공약을 내걸었는데, 공약대로 금리인하를 하면 유동성이 증가되어 물가도 오르고 부동산에 돈이 몰려 집값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고, 반대로 물가가 올라서 물가를 잡기위해 다시 금리를 올리게 되어 다시금 부동산 시장이 어려워 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어느 경우가 되었든지 물가 상승과 고금리 등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예전만큼 활황이 되기는 쉽지 않을 듯 한데, 이는 정부의 정책이나 금리 등 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라서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급이 부족한 서울은 상급지 이동을 더할것으로 보입니다

    다주택보다 똘똘한 한채를 원하다보니 서울은 찾을것으로 보입니다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지금은 대출한도 규제를 하고 있어서 거래가 없고 떨어지고 있지만 대출한도규제가 완화되면 오를것으로 보이고 지방이나 소도시들은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은 관계로 더 떨어질수 있습니다

    차별화는 더 심해질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년 부동산 분양에 역대 최소인 것은 맞지만 주택 가격이 상승할지 하락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개인적으로 직전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는데 이로 인한 피로감으로 보합세 내지 하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장기적으로 주택 가격이 우상향하겠지만 2025년 분양이 역대 최소라고 해서 주택 가격이 상승할 것 같진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신규주택 분양 물량이 2025년도는 금년도에 비교하여 약간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나 2026년도 공급 물량이 더욱 대폭감소합니다

    따라서 공급물량 감소는 가격 상승요인이나 정부의 대출규제 영향으로 현실은 보합내지 하락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계엄정국이란 악재로 인한 혼란으로 잠재적 수요층은 존재하나 명학히 가격상승을 이끄는 심라적 부담으로 전망하기 아려운 살정이므로 당분간 관망하는 것이 지헤로울 것으로 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분양공급은 역대최소지만 이미 주택보급율은 105%정도로 100%가 넘었고 현재 경기동향이나 거래량을 볼때 내년에 공급쇼크로 인해 급상승하는일은 없어보입니다.

  • 2025년 부동산분양이 역대 최소라고 하는데요. 그럼 집값이 상승하나요? 아니면 경기침체로 인해 대출받은사람들이나 차익실현 매물 등으로 하락 할까요?

    ===> 부동산 시장도 수요에 대비하여 적절한 공급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공급이 부족한 경우 어느 시점에 주택이 부족하여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대부분 전문가들도 우려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이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신규주택은 부동산 시장에서 공급을 의미하고 신규주택공급이 줄어들면 수요,공급법칙에 따라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다만, 부동산의 경우는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해 다양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 강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에 따라 가격변동이 나타나게 됩니다. 현재 예상되는 주택공급에 따르면 질문처럼 2028년도까지는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기 떄문에 이로인해 시장내 가격상승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게 사실입니다만, 문제는 현 국내경기상황이 너무 좋지 않기 때문에 향후 상황은 지켜봐야 할듯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