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건강관리

다이어트 식단

갸름한두견이246
갸름한두견이246

소비기한 설정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소비기한이 정해지는데 기준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정확한 기준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보관방법과 유통방법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는거 같은데 어떻게 정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소비기한은 [식품에 표시된 보관방법을 준수할 경우 섭취해도 안전상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넓은 범위에서는 품질의 변화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식품이 제조가 되고 나서 안전한 상태까지의 날짜를 실험을 통해 계산하게 됩니다. 이를 품질안전한계기간이라고 합니다.

    이 품질안전한계기간에 안전계수(1 미만)을 곱한 값이 소비기한입니다.

    가령 품질안전한계기간을 100이라고 하고 안전계수를 0.9라고 하면,

    소비기한은 90일이 됩니다.

    보관방법 및 품질안전한계기간, 안전계수는 통상적으로 영업자가 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식품의 보관방법 등을 읽어서 어떻게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식품을 보관해야 품질 유지와 함께 안전하게 식품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발간 [식품 등 소비기한 설정실험 가이드라인]을 참조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소비기한의 경우 화학적인 실험을 통하여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간을 과학적으로 설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우향 영양사입니다.

    소비기한은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 할 수 있는 최종기한을 말하며 보통 보관방법, 유통방법, 제조일자 등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유통기한은 제품이 판매되기까지의 기간이고 소비기한은 제품을 소비하는 시점에 해당합니다. 소비기한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식품의 부패 속도와 보관환경을 기반으로 설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