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후의 부동산 가격에 대해서 궁급하니다.
안녕하세요, 땅값, 주식은 다 예측불허라고 하지만 전문가들이 보시기에 10년 후의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 형성이 될 것 같은지와 그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시겠어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부동산은 10년 주기설이 있습니다. 10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을 하면서 결국은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물가상승 및 화폐가치와도 연관이 있습니다. 아파트 건설 원가 또한 점점 올라가고 토지 가격도 점점 올라갑니다. 지금 시기가 조정이 왔고 어느 정도 보합세니 아마도 10년 뒤에는 상승을 하지 않았을까 예상을 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10년 후의 부동산 시장을 예측할 때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대체로 서울 및 수도권의 부동산은 계속해서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지방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수요 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급 측면에서는 재개발, 재건축, 그리고 지속 가능한 주택 수요 증가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또한 정부의 정책과 금리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항상 여러 변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10년 후의 가격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이러한 주요 요인들을 고려하면 시장의 방향성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것입니다만 개인적으로 10년수정도까지는 높은가격대에 유지될것으로 보입니다만 최근 조정이 26~27년까지는 유지될것이고 그후 반등하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가격에서 10년 후룰 예측한다는 것은 어려움으로 불확실하다고 봅니다
10년 후면 경제산업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느냐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지각변동이 나타날 것입니다
다만 일본의 부동산 현상에서 교훈을 찾아야 한다고 봅니다
현재의 끝모를 부동산 가격의 상승은 인구가 감소. 출산율의 저하.고령인구의 증사 등릐 부정적 현상이 도시의 공동화 현실을 불러와 부동산가격은 폭락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앞으로는 부동산 방향은 초양극화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구가 줄면 지방의 인프라는 유지하기 어렵고 서울의 인프라는 우리나라에서 탑이기에 지방에서 서울로 인구 쏠림 현상이 계속 나타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서울은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할 것 같고 지방은 지엽적인 상승이 있지만 대부분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