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 대비해서 전세금을 구할 때 전세가율 구하잖아요 전세가율을 구할 때이 매매가가 최초 분양가가 지금 매매가가 낮다면 이 전세가율을 어떻게
매매가 대비해서 전세금을 구할 때 전세가율 구하잖아요 전세가율을 구할 때이 매매가가 최초 분양가가 지금 매매가가 낮다면 이 전세가율을 어떻게 구할까요
전세가율을 구할때 최초분양가는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중요한것은 현재 가격입니다.
10억에 분양한 아파트에 전세 7억으로 들어갔고 현재 시세가 7억이 되었다고 하면 전세가율은 100%입니다.
전세금을 낮춰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현재 매매가를 기준으로 삼는 것입니다. 최근에 거래된 유사한 매물의 가격을 참고하여 현재 시장에서의 매매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세가율을 계산합니다.
분양가가 현재 매매가보다 높다면, 분양가를 사용하여 전세가율을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전세가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전세가율은 현재 매매시세 대비로 전세가율을 계산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가 낮아지면 전세가율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전세대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낮춰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이란 주택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보증금의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의 매매가격이 10억 원이고 전세보증금이 4억 원이라면 전세가율은 40%입니다. 최초 분양가격의 경우 5억원인데, 주변의 시세 및 매매가격이 8억원인경우 혹은 10억원대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최초 분양 당시 전세시세가 형성되어있었다면 그때 전세시세 대로 계산하는 것이고 지금의 경우 매매시세와 전세시세를 비교하여 전세가율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 대비해서 전세금을 구할 때 전세가율 구하잖아요 전세가율을 구할 때이 매매가가 최초 분양가가 지금 매매가가 낮다면 이 전세가율을 어떻게 구할까요
==> 매매가격이 하락되는 경우 통상 전세가율도 낮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존 주택인 경우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구조입니다.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은 그집의 공시기격에126%을 곱해서 나온 금액이 전세가이면 대출과 전세보증보험에 가입이 됩니다
그래서 전세를 찾을때 그런가격을 찾습니다
그런식으로 전세가를 계산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가율은 현 시세를 기준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분양가와는 관계없이 현재 해당 목적물에 시세에서 보증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전세가율로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분양가 5억인데 현 거레시세가 4억이고 전세보증금 3억이라면 전세가율은 75%( 3억 /4억 X100) 이 됩니다. 그리고 전세가율은 전세가격을 정할때 사용하는 것이 아닌 현 전세보증금이 시세대비 어느정도 수준인지를 판단하는 계산입니다. 즉, 시세 대비해 전세가격은 해당 지역, 매물에 따라 따라 정하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