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전답 임야는 시가가 공시지가가 ?
보통 전답 임야는 시가가 공시지가의 몇배가 일반적이나요 중소도시ㅈ기준으로 몇배정도에서 거래되는게 일반적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비슷한 질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공시지가는 세금산정으로 가격으로 산정방식은 국토부가 표준지공시지가를 산정하고 지차제가 개별 공시기가를 산정하여 공시하게 됩니다. 특히나 1년단위로 발표하는 것이기 때문에 거래발생시 변동되는 시세와는 차이가 있고, 세부담 감소를 위해 시세대비 60~70%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단, 거래가 자주 발생되지 않는 토지등에 대해서는 시세가 정확하게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공시시가를 기준으로 하여 대략적인 가치를 판단하긴 하지만, 각 토지의 주변상황이나 이용가능성등 여러 요인에 따라서 시세와의 차이는 달라질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아무런 개발 가능성이 없을 경우 공시지가 2~3배 정도에 시세가 형성이 되지만 일반적인 기준이고 해당 필지의 주변 시세에 따라서 거의 형성이 되게 됩니다. 즉 해당 필지의 용도 및 개발 가능성 주변 최근 거래 시세등이 해당 필지의 시세라 보시면 되고 공시지가는 과세를 하기 위한 기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답, 임야 등 비주거용 토지의 경우,
시가(실거래가)는 공시지가의 몇 배인지는 지역, 입지, 개발 가능성에 따라 많이 달라집니다
접근성(도로 인접), 지목 변경 가능성, 주변 개발 호재가 있으면 배수가 더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임야라 하더라도 도시계획구역에 가까워 향후 개발이 가능한 지역은 시가가 공시지가의 5~10배까지도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농사용으로만 묶여 있는 지역은 1.5배 안팎에 그치기도 합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실제 거래된 토지의 시세를 확인해보시면,
내가 관심 있는 지역의 정확한 배수 파악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야의 공시지가는 시세에 3~4배가 일반적인데 임야에 개발 계획이 들어선다면 10배까지도 벌어질 수 있습니다.
임야에 토지가치에 따라 차이가 심하게 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