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재활·물리치료

예리한박새69
예리한박새69

무릎인대 재활운동할 때, 접는범위?

나이
36
성별
남성

안녕하세요?

무릎내측인대 파열 회복단계로,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을 병행하고 있는 환자입니다.

무릎 구부릴 때, 재활운동 범위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접는건 다 접히고 쪼그려 앉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쪼그려 앉으면 다시 일어날 때 뻐근함이 있고, 30초 정도는 절뚝거리게 되는데요.

이렇게 쪼그려 앉는 것까지 약간?은 무리하게라도 재활운동을 하는 것이 나은지,

아니면 그냥 가용범위까지만 움직이는게 나은지 질문드립니다.

*다친날로부터 5주4일차, 물리치료 및 재활운동 10일차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재활운동을할때 가동범위를 늘리는동작의 스트레칭을한다면 약간 통증이있는정도 약간 불편감이있는정도까지 늘리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근력을키우기위해서나 안정성을키우기위해서 운동을할경우에는 통증이없는범위에서 하는게 무리가가지않게 재활하는 방법입니다

    애매하다면 병원에서 전문가의 도움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체중을 통해 가동 범위를 쉽게 늘릴 수 있으나 통증이 생긴다면 가급적 벽이나 테이블 등을 잡고 체중 부하 정도를 줄여서 시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손상초기에 최대한 가동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나 통증 없는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이후 예후에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사실 디테일한 부분은 치료받으시는 병원에 담당의나 담당 치료사에게 자문을 구하시는 것이 중요할것으로 보입니다. 엑스레이 영상부터 시작하여 동작에 대한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영상학적인 자료가 없기 때문에 질문 내용으로만 답변드리기가 한계가 있습니다. 잘못된 방향으로 알려드렸다가 더 아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선은 담당 병원에 디테일하게 확인하시고 물어보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그래도 질문내용만으로 답변을 드리자면, 우선 가동범위가 나오고, 쭈구려 앉다가 일어날때 다리쪽에서 통증이 나온다면, 앉았다가 일어날때 사용하는 근육이 힘이 약하거나 비활성화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앞쪽 허벅지 근육이나 뒤쪽 허벅지 근육의 활성화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근육들을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해당 동작을 반복하여 어느정도 동작의 성숙도를 올리면 해당 근육들도 활성화되고 점점개선될것으로 보입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손상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무릎 관절 운동을 하실 때 무리하게 통증이 유발되지 않도록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가용범위까지만 움직임을 만들어주며 천천히 그 범위를 넓혀 나가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지금으로썬 충분히 재활 프로토콜에 문제없이 진행되는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와 같은 무릎 관절의 재활 포인트는 움직임 증진 및 통증 조절로 보여집니다.

    무리되지않는선에서 무릎의 가동범위를 늘려주시고 적절한 강도로 세팅하여 재활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지금 재활치료중이시기에 전문가인 물리치료사 선생님과 상담을 통해 꾸준히 재활 치료를 하신다면 문제없이 건강히 회복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건강한 삶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동원 물리치료사입니다.

    재활운동은 통증 범위 내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하지 않고 가동 범위 내에서 운동을 진행해주세요. 점진적으로 운동 범위를 늘리고, 다리 근육 운동을 하시면 무릎 안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쪼그려 앉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어날 때 뻐근함과 절뚝거림이 있는 상황이라면, 재활 운동을 진행하는 데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재활 운동은 통증이나 불편함이 없는 범위로 진행하시는 것이 좋겠는데요, 쪼그려 앉는 동작이 가능하더라도, 그 후에 뻐근함이나 절뚝거림이 발생한다면 운동강도를 조절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따라서, 현재 통증이 거의없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무리하지 않고 운동하는 것이 회복과 재발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재활 운동은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여가는 것이 중요하며, 현재의 상태를 고려하여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운동을 진행하시고,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는 물리치료사나 주치의와 상담하여 질문자분의 현재상태에 적합한 재활 계획을 세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회복 과정에서의 통증이나 불편함은 중요한 신호이므로, 이상증상이 있다면 주치의와 상담을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현구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인대 파열 후 재활운동을 하시고 계신다면 아직 범위가 안나오는 부분은 늘려주시는게 중요하며 관절가동범위 확보와 더불어 근력운동을 같이 병행해주시면서 재활운동을 하셔야 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의 내측인대 파열 후 회복 중인 상태로 재활 운동 진행 중에 쪼그려 앉기 후에 통증 및 뻐근함이 있는 것은 회복 및 재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증상으로 걱정하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동범위 같은 경우 너무 무리하게 늘리기 보다는 가용범위 내에서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일단 운동을 먼저 해주시다가 어느정도 적응이 되시면 조금씩 점진적으로 범위를 늘려가면서 운동을 해보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무릎 관절 같은 경우 굽히는 각도도 중요하지만 끝 범위까지 펴주는게 굉장히 중요한 관절 중에 하나 입니다.

    큐세팅을 통한 허벅지 대퇴사두근의 운동 및 무릎의 안정화 운동을 잘해주시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규민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재활 과정에서 운동범위와 통증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쪼그려 앉는 동작이 가능하다고 하셨지만 일어날 때 뻐근함이 느껴지고 절뚝거림이 있는 것은 무르페 부담이 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무리하게 운동하기보다는 가용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운동하는 것이 회복에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쪼그려앉기운동은 재손상위험이 있습니다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인대에 과도한 부담을 줄수있어 재손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뻐근함과 절뚝거림은 딘대에 무리가가고있다는 신호일수있습니다 무리한 운동도 회복속도를 늦출수있습니다

    담당의사랑 현재상태에대해 상담하고 쪼그려앉기 운동을 해도되는지 물어보시고 운동후 통증이 심해지거나 오래 지속된다면 운동강도를 줄이거나 잠시 휴식을 취해주세요 쪼그려 앉는 각도나 시간을 점차 늘려나가세요 의자등을 이용하여 몸을 지지하며 운동하는것이 좋습니다 쪼그려앉기 외에도 허벅지 근력강화운동등 다양한 운동을 병행하여 재활효과를 높이셔야합니다

    결론은 득과실이 크니 상태를 체크해가면서 하는것이 좋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내측 인대 파열 회복 중에는 가용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쪼그려 앉을 때의 통증이나 뻐근함은 무릎에 부담을 주는 신호일 수 있으므로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점진적으로 운동 범위를 늘리되 필요 시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운동량을 조정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