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울산 지역에 전세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가 뭘까요?
매주 목요일에 발표되는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거래 가격 지수를 확인하니 울산과 부산 지역의 전세 가격이 꾸준하게 상승을 하고 있더군요.
근데 부산과 울산 지역에 전세 가격이 상승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울산지역의 전세가가 상승하는 것은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고 매매가격이 하락하다보니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잠재 수요자들이 전세시장으로 전환하였는데, 전세 공급은 감소하고 전세사기 여파로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지다보니 공급부족으로 인해 전세가가 상승하고 있는 것입니다.
부산의 경우에도 유사한데, 신축 아파트 입주량이 줄고 전세물량은 급격히 줄어든 반면 수요자들은 집값 하락을 예상하여 매입을 미루고 전세를 선택하다보니 전세 수요가 증가하여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부산의 경우 실소유자들이 경기침체와 불확실성에 대한 심리때문에 매매 보다는 전세를 더 선호를 하게 되면서 전세수요가 늘어나면서 전세가격이 상승을 하는 측면이 있고 아울러 울산의 경우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타 통과 호재에 힘입어 교통 인프라가 좋아지게 되고 공급이 부족한 측면이 커지면서 전세가격이 상승을 하고 있는 현상으로 보여 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 계약 연장을 통해 기존 입주자는 그대로 머무르고 일부 집주인들이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면서 전세 매물 자체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전세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 전세 자격이 오르는 구조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부산과 울산은 비규제지역으로 상대적으로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수도권보다 규제가 덜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투자 기회로 여겨지고 있어 갭 투자나 전세자격 상승 기대 심리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부산과 울산지역의 전세가격 상승원은 최근 몆년 간 공급감소와 전세 매물품귀, 매매시장 불확실성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공급부족문제는 25년부터 부산과 울산 모두 아파트 공급이 크게 줄었지만 전세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신규 입주물량 감소와 전세 수요집중 때문입니다.
2025년 이후 신규 입주 예정 물량이 줄어 들며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게다가 매매가가 고점대비 하락한 상태라 실수요자들이 전세로 대기하면서 수요가 쏠리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부산과 울산지역 미분양이 전국 최대이고, 매매거래량은 전년대비 30%이상 줄었습니다.
따라서 매매수요가 시세 하락의 리스크를 고민하다 전세 수요로 전환하면서
일시적인 전세가 상승으로 보입니다.
추가 궁금하신 사항 있으실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부산은 DSR 규제 등 대출 제한으로 실수요자들이 주택 구매를 망설이고 있는 반면, 매매 시장은 약세지만 전세 수요가 전환되며 전세 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울산 역시 매매 시장은 보합이지만, 주거 환경이 안정적인 지역 (중구, 남구 등) 위주로 전세 수요가 몰리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입주 물량이 급감하고 있어 전세로 나올 수 있는 매물이 제한됩니다
공급이 부족해 수요 대비 매물이 줄어들며 전세가 더욱 오르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 부동산 원의 아파트 거래 가격 지수를 꾸준히 확인하고 계실 정도면 부동산의 숨은 고수이신 것 같습니다.
부산과 울산 지역의 전세 가격이 상승하는 주된 이유는 몇 가지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공급 부족 현상 :
먼저, 전세 매물 자체의 절대적인 부족인 전세 가격 상승을 이끄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 입니다. 살고자 하는 사람은 많은데, 전세로 나올 수 있는 아파트의 물량이 적으면 자연스럽게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울산의 경우 아파트 전세 물량이 부족한 현상을 겪고 있으며, 앞으로의 이주 물량도 많지 않아 이러한 품 귀 현상이 전세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매매 가격의 하락의 영향 :
최근 1년여간 매매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주택 구매에 대한 부담이 커진 수요자들이 전세로 발길을 돌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매 대신 전세를 선택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면, 이는 전세 시장의 수요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 전세 가격을 밀어 올리는 요인이 됩니다
실 수요자들의 전세 선호 :
불안정한 시장 속에서 무리하게 집을 사기보다는, 일단 전세로 거주하며 시장 상황을 관망하려는 심리도 전세로 거주하며 시장 상황을 관망 하려는 심리도 전세 수요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전세 가 율(매매 가격 대비 전세 가격 비율)이 오르는 것은 세입 자에게는 부담이지만, 매매와 전세의 가격 차이가 줄어들면 실 수요자들은 전세 만기 후 매매를 고려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주택 시장의 전세는 공급과 수요의 원리, 그리고 매매 시장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가격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힘든 감정을 느끼고 계신 상황에서도 이렇게 경제 현상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시는 모습이 정말 멋지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