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23.10.16

수출입할때 사용하는 HS코드는 어디에서 정하고 운영하는것인가요?

수출입무역할때 보면 제품항목별로 HS코드라는게 있잖아요, 그런데 수출입할때 사용하는 HS코드는 어디에서 정하고 운영하는것인가요? HS코드를 주관하는곳이 어디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HS CODE는 WCO인 세계관세기구에서 제정한 곳으로 산하기관인 HS 위원회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HS CODE는 6단위까지 동일하게 사용하며, 6단위 이하 CODE에 대해서는 각 국이 자율적으로 부여하는 System입니다. 따라서 5년마다 무역통계량을 기준으로 무역량이 많아지는 물품에 대해서 HS CODE를 신설하거나 무역량이 적어져서 삭제하는 등 개정이 이루어지며, 해당 기관에서 이를 관리하신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세계관세기구(WCO)가 중심이 되어 체결한 HS 협약에 의하여 상품별로 부여한 코드로써 관세율, 수출입요령, 간이정액환급액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FTA와의 관계에서는 HS Code별로 협정관세율과 원산지 결정기준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무역계약에 앞서 수출입물품이 협정관세 적용대상인지, 원산지 결정기준은 무엇인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사항을 모두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물품의 품목번호가 결정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10단위, 미국과 EU는 8단위, 일본은 9단위를 쓰는 등 해당 국가의 무역 통계적 목적 등에 따라 사용 자리 수는 달라지지만 국제적으로 앞에서부터 6자리는 동일한 번호가 부여됩니다. 품목분류에서 앞 2단위는 ‘류(Chapter)’, 4단위는 ‘호(Heading)’, 6단위는 ‘소호(Sub Heading)’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에폭시 수지’의 경우 3907.30인데 우리나라는 이를 다시 세분하여 반도체 제조용의 것은 3907.30-1000으로, 기타의 것은 3907.30-9000으로 세분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품목분류(nomenclature, classification)란, 전세계에서 거래되는 각종 물품을 세계관세기구(WCO)가 정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S)에 의거 하나의 품목번호(Heading)에 분류하는 것으로서 국제통상상품분류체계에 관한 국제협약(HS 협약)에 의해 체약국은 HS체계에서 정한 원칙에 따라 품목분류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전통적으로 품목분류는 물품별로 관세 또는 내국세의 세율을 규정하기 위한 과세목적 이었으나, 오늘날 각종 통계, 운송, 보험, FTA 원산지 관련 등 다양한 형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품목분류제도는 교역물품의다양화와 달성하고자 하는정책목적이 복잡해지면서복잡하고 방대한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였습니다.

    HS협약의 정식명칭은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Description and Coding System(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으로서, 약칭하여 “HS Convention(HS협약)”이라 합니다.

    ㅇ HS협약은 CCC(Customs Co-operation Council:관세협력이사회)의 주관 하에 국제무역의촉진을 목적으로 1983.6.14. WCO(World Customs Organization:세계관세기구)본부에서 개편하여 1988.1.1.에 정식 발효하였습니다.

    ㅇ 전문, 본문(제1조∼제20조), 부속서(HS 품목분류표)로 구성되어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미국, EU, 일본, 캐나다 등 179개국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HS CODE는 1988년 국제협약(HS협약)으로 채택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를 말합니다.(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and its Annex: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과 그 부속서)

    상기 국제협약에 따라서 HS CODE는 10자리까지 사용할 수 있고, 6자리까지는 국제 공통으로 사용하는 코드로서 앞의 2자리는 상품의 군별 구분, 4자리는 동일류 내 품목의 종류별·가공도별 분류, 5~6자리는 세분류 동일호 내 품목의 용도·기능 등에 따라 분류를 진행합니다. 7자리부터는 각 나라에서 세분화하여 부여하는 숫자인데, 우리나라는 10자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9자리, 미국은 10자리, 베트남은 8자리 사용 등)

    그리고 물품에 부과되는 관세율이나 수출입요건 등은 HS CODE라는 숫자에 따라 상이하므로, 수출입하는 각각의 물품에 대한 HS CODE 분류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관세법 별표 관세율표로 법제화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HS코드는 세계관세기구(WCO, World Customs Organization)에서 정하고 운영합니다. WCO는 1952년 설립된 국제기구로, 190개 이상의 회원국이 있습니다. WCO는 관세와 무역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관세 규정과 절차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HS코드는 그 중 하나로 전세계 6자리는 공통이며, 물품의 종류와 특성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HS코드는 수출입 통관, 관세 부과, 무역통계 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즉, HS코드는 WCO의 기술위원회에서 개발하고 관리합니다. 기술위원회는 세계 각국의 관세 당국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HS코드의 개정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HS code의 경우에는 WCO(World Customs Organization)에서 제정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세계적인 품목분류 결정의 경우에는 WCO에서 결정을 내리는 경우도 있으며 현재 WCO는 5년마다 개정을 통하여 HS code에서 수출입이 줄어든 물품은 삭제하고, 증가한 물품은 새로운 호를 넣거나 규정을 신설하는 등의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에 따라 대외 무역거래 상품을 총괄적으로 분류한 품목분류 코드로서 WCO(세계관세기구)에서 제정합니다.

    1988년 처음 발효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HS는 세계관세기구인 WCO에서 제정하여 1988년 발효된 협약으로 정확한 명칭은 '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과 그 부속서'를 의미하며 약 180개 국가가 가입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7차 개정판인 HS 2022 버전을 사용하고 있으며, HS 협약의 부속서인 HS 품목분류표를 기초로 10단위인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HSK)를 운영하고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