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물가가 쉽게 내려가지 않을까요? 물가가 내려가야 경제 살림이 편해질 거 같은데요
현재 물가가 매우 높은 상태로 보입니다. 생활 물가가 올라서 실질 소득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인데 물가가 왜 안내려가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물가가 많이 올라서 서민들의 삶이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물가가 많이 오르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환율이 상승하고 국제 곡물가격 상승, 인건비·자재비·물류비 등의 상승에다가 최근 정부에서 경기부양을 위해 돈을 풀다보니 유동성이 증가한 영향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 생활에 직접적으로 많이 느껴지는 생활물가인 축산물 및 수산물 등(10월달 전년대비 사과 21.6%, 쌀 21.3% 상승 등)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오르다보니 더욱 물가가 높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가 쉽게 내려가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가격이 올랐으니 내려야 하는데 안 내려간다 수준이 아니라, 경제 구조와 심리, 정책, 공급/수요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서 발생합니다
결국 물가가 내려가려면 공급 비용이 안정 되어야 하고 수요 조절 ,기대심리 안정이 동시에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의 근본은 원가에서 나오는데 현재 글로벌 불확실성과 에너지 가격 및 원자재가격등이 워낙 많이 올라고 또한 공급도 불안정하기 때문에 그러한 원가적인 부분이 쉽게 해소가 안되기 때문에 상품의 가격이 높게 형성이 되었다고 볼 수 있고 반면 소득은 물가보다 적게 오르기 때문에 그 갭은 다소 클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가 아직 높게 형성이 되어져 있는 이유도 아직 물가가 다소 높게 형성이 되어져 있고 경기가 침체가 되어도 물가가 싶게 내리지않는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는 글로벌 전쟁, 무역전쟁에 대한 공급이 줄어든 경우가 가장 큰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기본적으로 한번 오른 물가는 다시 내려가기 쉽지 않습니다. 이유는 물가가 오르게 되면 그만큼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이렇게 떨어진 화폐의 가치는 다시 높아지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즉, 한번 상승된 물가에 따른 화폐가차의 하락은 다시 물가인하에 따라 회복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화폐의 가치는 시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특징이 있기에 물가가 한번오르면 다시 이전으로 돌아가기 쉽지 않게 됩니다.
그리고 물가가 상승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 불균형에 따른 이유와 정부정책이나 환율변동에 따른 원자재상승등 여러 요인에 따라 발생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는 한 번 올라가면 잘 내려가지 않는 점착성이 있고 원가 하락보다 인거비, 임대료 등 고정비와 심리적 요인까지 더해져 가격 인하 압력이 약해집니다.
구조적, 심리적, 제도적 복합 요인으로 생활 물가가 잘내려가지 않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
현재 물가가 매우 높은 상태로 보입니다. 생활 물가가 올라서 실질 소득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인데 물가가 왜 안내려가는 지 궁금합니다.
===> 현재 물가가 내려가지 않는 이유로 공급비용의 지속, 임금, 소비 구조, 환율, 금리같은 거시경제의 변수, 그리고 물가의 하방 경직성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공인중개사입니다.
서비스 물가와 임금 요인은 조정 속도가 매우 느금습니다. 기업도 원가 부담과 마진 문제로 가격을 쉽게 내리지 않습니다. 환율 불안이 지속되면 수입물가가 높아져 전체 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높은 생활비의 부담과 높은 기대인플레이션 그리고 공급 비용의 상승과 전쟁과 같은 세계적인 불안 요인들이 결합하여 물가 하락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원인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