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왜 베이커리 중심으로 빵업계가 형성된건가요?
우리나라는 특이하게 베이커리 중심으로 빵업계가 형성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로 인해서 공장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90년대부터 파리바게트라는 베이커리 업체가 등장하였고 이게 본격적으로 빵시장을 대표하고 장악하면서 베이커리 빵이 보급화되었으며 빵가격의 기준이 된게큽니다.
즉 국내는 이런 현상으로 다른국가와 달리 베이커리 빵이 60~70%를 차지하고 공장빵이 상대적으로 도태가 되면서 다른 국가와 다르게 베이커리 중심으로 제빵시장이 형성된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빵 시장을 보면 처음부터 동네 제과점이나 프랜차이즈 베이커리가 중심이었습니다. 유럽처럼 오래된 공장빵 문화가 자리 잡기 전에 고급 이미지와 맞물린 개인 제과점이 대중화된 영향이 큽니다. 80\~90년대에 대기업이 대량 생산 빵을 내놓긴 했지만 식빵이나 간단한 제품 위주라 다양성이 떨어졌습니다. 여기에 소비자들이 방금 구운 빵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져서 대형 유통보다 매장에서 바로 굽는 방식이 자리 잡았습니다. 제과제빵 학원과 기술 교육이 활발했던 것도 이런 구조를 더 굳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식이 탄수화물로 된 쌀이 주식이며, 그 외에는 간식으로 여겨지기 떄문에 이러한 빵의 경우에도 간식으로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간식으로 간단히 먹을 수 있는 또는 갓 만들어 진 빵을 선호하다 보니, 이러한 것들이 유행이나 흥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공장빵의 경우 식사대용으로 먹을 수 있거나 하는 등의 간단하지 않은 형태이다 보니 그러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빵업계가 베이커리 중심으로 형성된 이유는 1960~70년대 정부의 밀 소비 장려 정책과 미국 식량원조로 저렴한 밀가루 공급이 확대되면서 제조공장이 늘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 크림빵 등 공장제 빵이 학교와 군대에 공급되며 대중화됐고, 1980년대 중산층 확대와 경제 안정으로 프렌차이즈 베이커리가 등장해 베이커리 문화가 자리잡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베이커리 중심으로 형성된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의 빵은 디저트의 의미가 강하기 때문에
공장식 빵보다는 베이커리 중심으로 나가게 된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공장빵 비중이 더 컸지만, 베이커리 비중이 지속적으로 커지는 것은 맞습니다.
과거에는 당연히 대기업에서 생산하는 공장빵이 대부분의 빵 생산을 담당했고,
현재는 즉석 베이커리 매장은 물론 개인 카페 등에서도 베이커리를 담당하며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단 소비자들의 취향이 바뀐 것인데, 즉석에서 생산하는 베이커리 빵이 맛도 더 있을 뿐더러
건강과 품질이 더 좋다는 인식이 생겼고, 그럼에도 프랜차이즈화가 되면서 가격도 저렴해진 것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고
그리고 더불어서 프렌차이즈가 상당히 자리가 잡히며서
이러한 프렌차이즈 중심의 제빵업계가 형성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 정부의 쌀 소비 장려와 밀가루 수입 자유화 이후, 제과점 중심의 빵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전국망을 구축하며 동네빵집 구조를 확산시켰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빵업계가 베이커리 중심으로 형성된 이유]
1950년대 미군 영향으로 빵이 도입된 후, 1980년대 경제 성장과 함께 서구식 식문화가 확산되면서
소규모 베이커리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우리나라 소비자는 신선함과 품질을 중시하며, 동네마다 개성 있는 베이커리가 지역 수요를 충족했습니다.
반면, 공장빵은 대량생산으로 맛과 신선도가 떨어진다는 인식과 유통망 제한으로 비중이 작았습니다.
결국, 이런 공장빵의 유통망 제한은 프랜차이즈(파리바게뜨 등)의 성장에 영향을 줬고
지역 베이커리 문화를 강화하며 공장빵 확산을 억제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베이커리 중심의 빵업계가 형성된 이유는 그만큼 맛에 대해 가치를 두는 비중이 커졌기 때문에 더 많은 값을 지불하더라도 품질 좋은 빵을 먹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늘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