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은?
아이가 초등학교 2학년인데 반에서 딱히 친한 친구가 없다고 합니다. 친한 아이가 없어도 괜찮다고 하는데 걱정이 됩니다. 바람직한 친구관계 형성 방법있나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친한친구를 사귀지 못한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문제가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아이의 기질이 내성적이고 소심하고 소극적인 면이 짙다 라면 아이는 친구에게 다가가 친구와 언어적 소통을 하는 것을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또. 친구와 대화 시 자신의 의견을 너무 내세우고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면 친구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겠습니다.
첫째, 아이가 친구에게 다가가는 것을 어려워 한다면 아이와 역할극을 함께 하면서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둘째, 자신의 주장이 너무 강하다면 친구와 나와의 생각과 감정은 다르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고 친구의 의견을 존중하고 배려하고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며 사이좋게 지내야 한다 라는 것을 아이에게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해 주세요. 친구와의 대화 연습, 관심사 공유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관계를 맺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친구를 만드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니 기다려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바람직한 친구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가가서 놀자고 제안하는 경험이 필요합니다. 저학년 아이들은 생각보다 두루두루 노는 시기예요. 그래서 쉬는 시간이나 점심 시간에 아이들이 보드게임 등을 하면서 놀고 있다면, 다가가서 같이 놀자고 제안하도록 연습해 주세요. 그리고 다른 아이들이 관심을 가지는 관심사나 소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집에서 이러한 경험을 하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 스스로가 친한 아이가 없어도 괜찮다고 말하는 것은 개인의 성향이나 기질일 수 있으니, 충분히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 보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친구 관계에 대해 고민하고 계시는 부모님의 마음이 정말 잘 이해됩니다. 초등학교 2학년 아이는 사회성 발달과 친구 관계 형성이 중요한 시기인데, 아직 친구가 많지 않거나 친한 친구가 없다는 것에 대해 걱정이 될 수 있죠. 하지만 친구가 없다고 해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건 아이가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와 친구를 대하는 태도입니다. 바람직한 친구 관계 형성을 위한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아이가 건강하고 긍정적인 친구 관계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데에 도움이 될 거예요. 친구 관계는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아이가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배려와 존중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교 2학년은 친구 관계를 맺고 배우는 중요한 시기이지만, 아이가 서두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친구를 만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친구가 없어도 괜찮다는 마음을 가지고, 긍정적이고 건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부모의 지속적인 지원과 격려가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바람직한 친구관계를 형성하기위해서는 바로 이러한 것들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사교성을 가르치세요
영유아시기 부모로부터사회적발달을 배우지못하니깐 초등학생이되도방법을몰라친구가없습니다
지금이라도가르치면좋아질수는있을겁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친구가 없어도 괜챃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아이가 관심사를 공유할 수 있는 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소통할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