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수요일
수요일

신규아파트가 들어서면 바로 근처에 학교가

제주위에 요즘아파트들이 많이 생기고있습니다 광고도 초품아라고 광고를 많이하고 정말로 아파트가 생기니까 학교도 또짓더라구요. 이상한게 인구도줄고 아이들도 계속줄고있는데 학교는 왜자꾸많아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파트 대단지가 들어서면 아무래도 초등학생들이 늘어나서 학교를 짓는거 같습니다

    인구가 줄어드는 곳은 지방이나 소도시들은 문제가 되고 있는데 또 신도시가 생기면 인구증가로 학교가 늘어나나봅니다

    균형있게 발전이 되어야 되는데 인구감소로 걱정이긴 합니다

  • 보통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면 인구유입이 되기 떄문에 초등학교와 같은 정비기반시설이 함꼐 지여지게 됩니다. 보통 기존학교에서 수용가능한 인원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그렇고, 초등학교의 경우 지역단위로 배정되기 떄문에 수요가 충분하다면 아파트 단지내 초등학교등이 함께 지어집니다. 질문에서 말한 아이들이 계속 줄어들고 있는것은 사실이나 전체적인 추세이지, 지역내 여건에 따라 수요가 수용능력보다 많은 지역이 있을수 있고 그로인해 새로 학교가 지어지는 것이고, 반대로 인구이동에 따라 초등생 수요가 줄어들게 되는 초등학교는 통폐합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 신규 아파트가 들어서면 주변에 학교가 생기는 현상은 꽤 흔한 일입니다. 이는 아파트 단지가 새로 생기면 그곳에 살게 될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학교도 함께 설립되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아파트 단지에는 많은 주민들이 입주하게 됩니다.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학교, 상업시설, 공원 등이 함께 조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파트 단지가 생기면 지역 자체가 활성화됩니다. 이로 인해 학교 수요도 증가하게 되고, 학교가 설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육 정책에서도 학교 설립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학교가 있는 지역은 주민들의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합니다. 따라서 신규 아파트가 생기면 주변에 학교가 생기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며, 주민들의 편의와 지역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 갈수록 수도권 및 인기지역 편중화가 심해지고 있습니다. 아동수가 줄어드는데 특히 아이들을 키우는 젊은 사람들은 새아파트를 선호하므로 새아파트 위주로 모이게되니 새아파트 주위에 학교가 생기고 대신 구도심 등은 구도심은 공동화되고 학교가 없어지게 되고 있습니다.

  • 신축아파트 인근에 학교가신설되면 그것이 아파트가격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기존 학군이 좋지않은 곳이라면 신설학교가 그나마 좋은학군이 되기를 기대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첫째로, 학교 증설은 인구 이동이나 도시 계획에 따라 필요한 교육 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둘째로, 학교 증설은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학생들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적 결정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파트가 많이 생기는 동시에 학교가 증설되는 것은 해당 지역의 교육 인프라를 강화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말씀하신 경우는 이주수요를 계산하고 학교를 짓는 것 입니다. 학교를 새로 짓는 것은 최근에 점점 허가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폐교되는 학교들도 많은데 새롭게 아파트 단지가 들어오면 학령 인구가 늘어나므로 이를 계산해서 짓고 다른 곳의 학교들은 폐교 되는 곳이 늘어날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왕 입니다.

    국가 인구는 줄어들지만, 아파트가 들어오는 지역의 인구는 많아지니

    해당 지역의 수용할 편의시설과 학교는 들어와야죠..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아파트 짓고 입주가 다.되면 그 주변 아파트 단지 세대수를 고려해서 세대가 충분히 많다면 학교시설도 반드시 들어가야 합니다. 즉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는 교육시설이 들어가게 설계가 됩니다.

  • 지난 20년 동안 학령인구가 많이 감소했지만 비수도권의 구도심과 농어촌을 중심으로 문 닫는 학교가 급격하게 많아진 것도 사실 입니다. 학교가 생기는 이유는 신도시 개발로 새로 인구가 몰리는 지역에는 빠르게 학교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학생도 줄고, 문 닫는 학교도 많은데 전체 학교 수가 늘어난 이유는 신도시 개발에 있습니다.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학교가 계속 새로 생기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