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의 언어가 다르듯이 수화는 나라별로 다른가요?
수화는 국가별로 동일한 것인지 아니면
국가 별로 언어가 다르듯이
수화도 니라가 다른면 서로 다른 것인지
아니면 어느 정도 비슷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수화는 국가별도 다릅니다. 심지어는 지역별로도 다르기도 합니다.
반대로 마다가스카르의 말라가시어와 노르웨이어는 완전 다른 언어인데 노르웨이 선교사가 마다가스카르 수화의 개발에 참여한 까닭에 두 나라의 수화가 비슷한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이 통하기 위해 국제수화가 만들어져 있으나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고, 기존 각 국가나 지역의 수화를 통일하기 위함이 아니라 국제적 환경에서 농인들의 소통을 돕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예 , 수화는 국가별로, 지역별로, 추가로 시대별로 다릅니다.
이것은 수화도 사람끼리의 약속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며 그렇기 때문에 언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언어의 자의성(표현과 의미 사이가 맺어진 이유가 없다) 시대성(시간에 따라 변한다)
등의 특성이 있죠. 같은 언어로도 사투리가 생기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인터넷이 없는 예전에는 실시간 교류 가 불가능 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사람들이 저마다 자신의 나라에 맞는 수화를 개발했습니다. 서로의 연구결과를 참고하는 경우가 있어도 나마라다 어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죠
국제 교류가 늘어나면서 대부분 언어권에서 통하는, 스시나 k-pop같은 공통 단어가 생긴 것 처럼
수화에도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현법이 몇개 있긴 하지만
수화 사용자 들도 외국에서 대화 하려면 외국 수화를 결국 배워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각 나라마다 사용하는 수화(수어)는 그 나라의 문화, 언어, 역사에 따라 독자적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한국수어와 미국수어는 전혀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집니다. 단어, 문법, 표현 방식이 다르며 수어끼리도 '외국어'로 간주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 수어와 영국 수어는 같은 영어권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알아듣기 힘들 정도로 다릅니다. 이는 수어가 음성 언어의 직접적인 번역이 아니라 독립된 언어체계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나가 마라 언어가 다르듯히 수화도 국제적으로 통일 된 것이 아니라 국가 별로 다릅니다. 그 이유는 수화가 고도로 발돨 된 문법 체계를가지고 있기 때문 입니다. 수화를 마치 그냥 바디 랭귀지 정도로 생각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 언어와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일반적으로, 음성대신 손의 움직임을 포함한 신체적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시각 언어를 수어(sign language)라고 하며, 한국수화언어법 제정 이후로, '수어'를 공식적으로 체택하고 있습니다. '수화'는 '수어'의 방식을 말합니다.
수어는, 정확히 언제 시작되었는지 알수는 없는데, 다른 일반적인 언어와 마찬기지로, 청각장애인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며 자연스럽게 발생한, 자생적으로 발전한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수어도 다른 언어와 같이 비교언어학적으로 분류가 되기도 하는데, 프랑스 수어족, 영국 수어족, 아랍 수어족, 일본어 수어족, 스웨덴 수어족, 독일어 수어족, 고립어 등으로 분류되며, 한국어 수어는 일본어 수어족에, 중국어 수어는 고립어 수어족에, 미국 수어는 프랑스 수어족에 속합니다. 즉, 나라마다 수어가 다르며, 같은 수어족에 속해있다 하더라도 모두 같은 것은 아니며 차이가 존재하기도 합니다.
또한, 개별 집단이나 공동체, 가정 등도 여러 목적 등으로 개뱔적 수어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어의 종류는 자연 발생한 어족별로, 어족 내에서도 국가별로, 국가 안에서도 개별 집단별로 다른 수어가 존재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나, 1951년 설립된 세계 농아인 연맹(World Federation of the Deaf, WFD)이 주최한 제1회 세계 농아인 회의에서 국제 수어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73년 WFD위원회에 의해, 표준 수어 사전이 편찬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문법 체계를 가지고 있지는 않아서 언어로 분류되는 않으며, 영어로도 'language'라는 말이 붙지 않고, 그냥 'international sign'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국제 수어는 정식 언어는 아니며, 의사소통을 위해서 사용되는, 일종의 기호 역할인 피진(pidgin-임시언어 혹은 중간언어)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 수화는 기본적으로 지역마다, 또 언어구사 구분에 따라 다르지만, 유럽의 많은 언어들이 각 언어별로 다른 언어이지만 또 겹쳐지는 부분이 있듯이 (**특히 LAD의 토미라소다 감독이 스페인선수에게 이탈리아어로 의사소통을 하였다는 일화는 유명합니다 - 즉 많은 유사점이나 유사/동일 단어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1:1로 그 유사와 다름이 대응하지 않는다고 하겠습니다. 이는 어떤 의미를 형태와 Motion으로 변환하는데 있어 어떤 motive는 그 변환과정의 시초적 idea에서 유사점이 많았다는 것이겠습니다. 예를 들어 엄마라는 단어는 세계어디에서도 m발음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라는 개념이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