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요즘 전체적으로 부동산 매매가 힘들다고 하던데요? 부동산 경기는 언제쯤 회복세로 돌아설까요?

요즘 경기가 어려워서 그런지 부동산 경기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거기에다 정치적인 불확실성까지 겹치니 경제가 움츠려 들 수 밖에 없습니다.

부동산 경기는 언제쯤 회복세로 돌아설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주택매매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대출규제강화와 계엄사태로 주택수요가 줄면서 거래가 멈춰있는 상황입니다

    지방이나 소도시들은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이된 지역들은 더 떨어질것으로 보입니다

    내년에 대출한도규제를 푼다면 서울상급지 이동은 있을것으로 보이는데 워낙 상황이 안좋아서 더지켜보야 할거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부동산 시장의 거래가 위축이 되고 부동산이 침체기를 겪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강력한 대출규제로 더더욱 부동산 시장은 위축의 길을 가고 있습니다. 심지어 기준금리가 내려도 가산금리를 적용을 해서 실제적인 금리인하혜택을 보지 못하니 부동산 매수세가 죽어가고 있습니다. 하물며, 2025년 7월 스트레스 DSR3단계 까지 시행을 하게 되면 가산금리가 1.5%까지 적용이 되니 부동산 시장을 더더욱 위축을 만드는 꼴이 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내년도 어려울 것으로 예상이 되고 이러한 대출규제가 완화가 되어야 부동산 시장을 살아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기는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지만 앞으로 우리나라 경제 사정이 좋아질 기미가 현재로서는 보이지 않아 단기간 부동산 시장도 침체 분위기로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서울 부동산과 지방의 부동산 가격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며 인구 감소로 인해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중심으로 투자를 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요즘 경기가 어려워서 그런지 부동산 경기도 좋지 않다고 합니다.

    거기에다 정치적인 불확실성까지 겹치니 경제가 움츠려 들 수 밖에 없습니다.

    부동산 경기는 언제쯤 회복세로 돌아설까요?

    ==> 대부분 전문가들은 탄핵정국이 마무리되는 내년 후반기부터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진보정권인 경우 부동산을 폭등하였던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추측은 가능성을 아주 높게 해주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마도 미연준에서 고금리를 유지한다라는 발언이 있었던거 만큼 빠르게 금리인하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은26~27년정도가 변곡점이 될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그 시기를 정확한 판단하기에는 현 상황등이 질문처럼 매우 불안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단 부동산 경기가 회복되기 위해서는 현재 대출규제가 어느정도 완화가 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대출규모나 가계대출이 기대만큼 크게 낮아지고 있지는 않기 떄문에 당장은 해지가 어렵고, 정치적 상황도 안정화되기까지는 대선이 끝나는시기를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나 후반기쯤으로 보이기에 부동산 시장의 회복은 일정시간이 필요할듯 보입니다. 또한 정권이 교체될 경우 부동산 정책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도 정치적인 안정을 찾더라도 또다른 변수가 될수 있기에 현재는 시간을 가지고 좀 더 지켜봐야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계엄정국으로 정치적 혼란은 전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경제는 불확식성하에서는 투자를 망서리게 됩니다 따라서 정치가 언정되기 시작한 다면 부동산시장도 살아 날 것입니다

    그러나 부동산시장은 게엄정국 이전부터 정부의 언정화 정책ㅇ.로 주택담보 대출을 가계부채와 결부시켜 강력히 규제하면서 부터 부동산 가격은 보합 내지 하락세를 보여 왔습니다

    따라서 2025년도 하반기 이후부터는2026년도 과도한 공굽 부족현상으로 잠재적 수요층이 증가하면서 신축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