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가 기존 은행시스템에 미칠영향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본격 도입이 된다면 시중은행의 기능이나 구조가 많이 바뀔수 있는거 아닌가요? 실제 어떠한영향도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CBDC 도입으로 중앙은행이 직접 디지털 화폐를 제공하면 은행 예금과 수익이 줄 수 있어요.
일부 금융 기능이 중앙은행으로 옮겨질 수도 있죠.
대부분 국가는 CBDC와 은행이 함께 운영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어요.
CBDC는 은행의 디지털 전환과 금융 경쟁 변화를 촉진할 거라고 봐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CBDC 도입 시, 예금 등 자금이 은행에사 CBDC로 이동해 은행의 대출 여력이 줄고, 자금조달 비용이 올라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위기 시에는 자금이 빠르게 CBDC로 이동하며 뱅크런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다만 금융 혁신과 서비스 효율성 증대 등 긍정적 영향도 있어, 실제 파급력은 CBDC 설계 방식에 달려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CBDC는 기존의 화폐를 디지털로 발행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기존 은행들은
전과 동일하게 전산으로 자금을 왔다갔다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장점으로는 실물 화폐를 찍어낼 필요가 없기에 비용을 아낄 수 있으며
보다 투명한 거래가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통화이며 단순히 블록체인시스템으로 본원통화를 발행하는 구조이므로 기존과 다를게 하나도 없습니다
즉 본원통화를 지금도 시중은행에게 발행하는데 CBDC형태로 본원통화를 시중은행에게 발행해서 시중은행이 이를 블록체인 인프라로 발행할뿐 기존 통화와 본질적으로 같습니다
다만 차이점이라면 블록체인구조로 해당 통화의 출처나 어디로 이동되는지 블록체인 오픈스캐너로 다 확인이 가능하고 특정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대출처를 정할수 있기 때문에 정책자금 활용시 편의성이 뛰어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CBDC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 관리하는 디지털 통화입니다. 중개기관의 역할이 줄고, 직접 계좌, 결제 구조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은행 수익구조 변화, 예금 이탈 우려 등 시중은행 중심 구조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CBDC가 기존 은행시스템에 미칠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CBDC가 발행하게 된다면 기존의 은행에는 긍정,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긍정적으로는 지급 결제 시스템의 효율성이 증대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서 통화 정책의 효과 역시도 더 좋아지게 된다고 합니다.
다만, 반대로 은행의 예금 자체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고
자금 조달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중앙은행이 은행을 거치지 않고 직접 모든 경제 주체에게 CBDC를 지급하게 된다면, 그동안 실물화폐를 발행, 저장, 운반하는 데 쓰던 비용이 크게 감소하게 될텐데요. 결국 기존 시중 은행의 중개 기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 즉 은행들의 예금 규모가 줄어들고, 이는 또 대출 여력 축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