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무난한황새43
무난한황새43

손가락 빠는 습관이 사라지지 않아요.

안녕하십니까.

초등학생 1학년 딸아이를 양육하고 있는데요.

어릴적부터 손가락 빠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학교 가서도 손가락을 빱니다.

이런 아이 습관을 어떻게 고칠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불안이나 스트레스 , 애정결핍등으로 인해 손가락을 빠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초등 1학년이면 말귀를 알아들을정도의 나이는 되므로 아이와 대화를 통해 왜 자꾸 손가락을 빠는지 원인을 물아보고 손가락을 빨면 안되는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인지시켜 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더이상 손가락을 빨지 않도록 대체할수 있는 것을 준비해주셔도 좋을듯 합니다.

  • 아이가 손가락 빠는 그 원인을 먼저 파악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심리적인 부분 부터 살펴봐주세요,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 먼저 입니다.

    그리고 아이가 안 좋은 경험을 한 것은 없는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등도 살펴봐주세요.

    아이가 지루하고, 따분하고, 심심하고, 불안해하고, 애정결핍, 애정욕구가 있다면 손가락을 빨 수 있으니 이 부분도 살펴봐주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빤다면 손가락을 빠는 행동이 왜 안 좋은지를 설명해 주도록 하세요.

    아이가 손가락을 빨려고 한다면 아이의 시선을 다른 곳으로 유도하여 주시거나, 아이의 손에 장난감을 쥐어주시거나,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 및 활동을 찾아서 아이와 함께 놀이 및 활동을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초등학교1학년이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으로 손가락 빠는 습관을 없애야 합니다.

    빨때마다 가볍게 팔을 잡아 주시구요

    주로 빠는 손가락에 밴드는 붙여 놓는 것도 방법입니다.

    한달정도는 계속 노력하셔야 할거 같습니다.

  • 혹시 모르는 아이가 불안해하거나 불편한 마음으로 인한것은 아닌지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보통은 그런이유들 때문에 안정감을 찾기위해 빠는행동을 하는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그심리적인 원인을 제거하는 것에 신경을 써주면서 손을 빠는 행동이 왜 안좋은지에 대한 역할 놀이나 관련 어린이 책을 같이 읽어보는 활동을 통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방법도 필요할것 같네요.

  • 초등학생 1학년 딸아이의 손가락 빠는 습관을 고치는 것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꾸준한 노력과 적절한 방법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스트레스나 불안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어릴 때 부터 계속 빨았다면 습관일 수 있으며 이는 다른 방법으로 손의 활동을 유도하도록 합니다. 만들기나 그리기 등 손을 다른 곳으로 쓸 수 있도록 유도해 주세요. 손가락을 빨지 않았을 때 칭찬하고 작은 보상을 해주세요.

  •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태어나서 구강기를 거쳐서 점점 더 성장을 합니다. 이 구강기에는 어떠한 것들도 입에 넣어서 입을 움직이는데 사용하곤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성장하면서 이렇게 입에 넣는 습관을 없애줘야 됩니다. 하지만 이를 중간에서 제재해주지 못한다면 아이들은 구강기의 습관을 계속해서 가지고 간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빠는힘이 점점 세지면서 손가락에도 상처가 생기고 치아 구조가 변하기도 한다고 하니 조심하는게 좋겠습니다.

  • 습관이라는게 참 고치기 어렵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왜 생겼는가?에 대해 생각해보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심리적으로 불안한지, 아니면 애정결핍이 있었는지에 대해 우선 대화해보고, 고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보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습관을 단번에 고치기는 힘듭니다 손빠는 습관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게 필요합니다 손대신 사탕을 빨거나 적당한 훈육이 필요합니다

  • 어릴적부터 손가락 빠는 습관이 있다면 빨리 고쳐지지는 않을거에요. 일종의 애정결핍같은거라 아이가 부모랑 애착형성이 잘못 되었을때 발생하는데요.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괜찮지만 더 길게 간다면 병원진료를 받아야할수도 있어요 손가락에 양말을 신긴다는것도 옛날방식이라서요

  • 아이 심리적으로 뭔가 결핍을 느끼는 경우에 보통 초등학교에 가서도 손을 빠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럴 땐 절대 다그치거나 잔소리하면서 화내지 마시고 아이와 함께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눠보셔야 합니다. 손가락을 빠는 걸 본인이 느끼고 있는지 모르는지에 대해서 먼저 대화를 나눠보시고 의식적으로 아이가 손가락을 빠지 않도록 유도해주셔야 합니다. 고칠 수 있다고 지속적으로 격려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