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의 기준은 자산이 어느정도 되어야지 중산층인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중산층의 기준은 자산이 어느정도 되어야지 중산층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중산층을 구별하는 기준은 전세계적으로도 명확히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발표하는 주체마다 기준의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중산층을 중위소득기준으로 75%~200%인 가구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산층이 60%정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른 기준으로 사람들 인식에 따른 조사결과에는 월소득 700만원 이상, 부동산과 금융자산 합이 9억을 넘는 경우를 중산층이라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은 소득수준을 백분율로 50% 중위소득에 속한 사람들로서 대략적인 소득은 월 380~1,200만원 입니다. 다만 한명이 벌어들이는 소득이 아닌 가구이므로, 조금은 더 높아 실제는 월600~1200만원 정도라고 생각 됩니다. 부동산의 경우 자산가격이 많이 상승하기는 했지만 대략 8억원의 부동산을 소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한민국 중산층의 기준은 정확하게 정해진 것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판단하게 된다면 부채가 없는 30평아파트, 500만원이상 월급, 자동차 2000cc이상, 통장잔고 1억이상, 해외여행 연 1회이상 정도의 기준을 충족하셔야 중산층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의 기준은 사회적으로 합의된 수준은 없으나 대체적으로 우리나라는 소득범위의 50ㅡ150%를 기준으로 산정하는데
OECD는 75ㅡ200%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은 시장소득과 정부소득지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소득 분포는 61.1% .통계치를 보입니다 이러한 중산층은 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가장 중요한 집단층이며 중산층이 무너지면 사회적 갈등과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가 심한 현상을 나타나므로 중산층을 배려하는 정책은 매우 팔요하리라 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 중산층은 일반적으로 기준이 높습니다. 선진국의 중산층은 OECD 평균 중위 소득 75% ~ 200%라고 되어 있지만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상위 10% ~ 20%정도로 기준을 높게 잡고 있습니다.
한 조사에 따르면 한 달 700만원 벌고, 부동산과 금융자산 9억을 넘어야 된다고 조사가 된바가 있어 이를 반증하고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중산층은 아니죠.
보통의 기준으로 4인가족 기준으로 400만원 ~ 500만원 정도 벌고 대출 있는 자가 부동산이 있으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중산층의 정확한 정의는 없습니다만 보통 중위소득기준이 됩니다. 우리나라 중위소득은 약 세후300만원이며 재산에 따라 달라지지만 복합하게 파고든다면 더욱더 기준이 불명확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