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는 수명이 어느정도가 되는 건가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거주 공간인 아파트 도 건축물 이라 서 수명이 있잖아 요 근데 아파트는 수명이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건물의 경우 외국에서는 실제 60년이상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우리나라의 경우라면 최소 40~50년이상 충분히 사용가능합니다. 물론 건물에 대한 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더 오랜기간 유지도 가능합니다. 다만 우리나라는 재건축이란 정비사업이 존재하고, 보통 30년이상되면 시가상승을 위해서라도 소유자들이 이러한 재건축 사업을 진행하려고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기간보다 짧게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오래된 아파트로 1932년에 준공된 충정아파트가 있습니다. 일본인 건축가에 의해 설계되어 4층으로 지어졌다가 이후 5층으로 증축되어 운용된 임대를 위한 최초의 아파트 였습니다. 현재 재개발 예정이지만 아파트도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는 100년을 사용할 수 있는 아파트를 만들자는 운동이 있기는 하지만 아파트가 재산 형성 수단과 연관되어 있고, 많이 보급되어 있는 벽식 구조의 아파트 구조상 콘크리트 구조물보다는 매설되어 있는 배관이나 전선 등의 노후로 인해 아파트의 수명은 30~40년 정도로 사용가능한 내용연수에 비해 짧게 유지되는 편입니다. 국토부에서 발표한 국가별 아파트 교체 주기를 보면 일본의 경우 54년이라고 하며 영국이나 독일은 120년이 넘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재건축 연안은 30년이 넘어가면 할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때부터 시작한다고 해도 15년에서 20년은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것도 빨리 추진을 했을때입니다
추진이 늦어지면 60년 이상인 아파트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건축법상 아파트의 내용연수는 대략 40~60년 정도로 규정이 되며, 세법상 감가상각을 고려할 때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법정 내용연수는 60년입니다.
실제 설계 및 시공 품질이 좋은 경우 50~100년 이상 사용할 수도 있지만 노후화, 유지보수, 안전진단 결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0~40년이 지나면 재건축 가능성이 높아 집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평균적으로 30~40년 후 재건축 논의가 시작이 되며, 잘 관리된 아파트는 60년 이상 거주도 가능합니다. 노후 아파트일수록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관리가 중요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아파트의 수명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구조적 수명은 약 30년에서 50년으로 보고 있습니다. 아파트가 설계된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건물 부식이 빠른 편입니다. 그래서 재건축 연한도 30년으로 해놓은 상태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보통 우리나라는 30~40년정도 잡습니다만 콘크리트건물은 최대100년까지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