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단팥소보로크림빵
단팥소보로크림빵

디스크협착증이란 무엇이고 왜 위험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56

보통 허리가 아파서 힘들때 정형외과에서 진찰을 받으면 디스크협착증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것 같아요. 디스크협착증이란 무엇이고 왜 위험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디스크 협착증은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으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보행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진행되면 신경 손상이 심해져 근력 저하나 대소변 장애 같은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자세교정과 운동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디스크와 협착증은 분리해서 보는걸 추천드립니다.

    디스크 : 척추관절사이에 놓여져있는 쿠션과 같은 역할이며 해당 부분이 여러 요인으로 튀어나가 저림증상 및 통증을 유발하는것을 의미합니다

    협착증 : 척추인대가 두터워지고, 관절이 커져 척주관을 좁아지게 만드는 질환입니다.

    주로 노화로 인해 많이 발생합니다.

     두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건 드물며 디스크가 대부분 젊은 나이에 먼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의 척추관협착증은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척추 중앙에 위치한 척추관이 좁아져 통증을 일으키거나, 다리등에 방사통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허리에 발생하는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허리통증이 빈번히 나타나며, 엉덩이나 항문쪽으로 쥐어짜거나 타는듯한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이상과 근력의 감소가 동반됩니다. 보행시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쭈그려 앉아서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가라앉습니다(신경성 파행).

    허리에 발생하는 척추관 협착증의 진행정도가 심할수록 통증과 신경성파행, 근력약화등의 증세가 심해지며 최종적으로는 괄약근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소준헌 물리치료사입니다.

    디스크협착이라는 의미는 디스크 + 협착 이라고 나눠서 이해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우리가 초코파이를 먹으면 가운데 마시멜로우가 있듯이 우리 척추뼈는 뼈와 뼈 사이에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하는걸 디스크라고 합니다.

    그러면 이제 협착이라는 말을 보면 종류가 크게 두개로 분류가 되는데요.

    척추 뼈 안쪽에는 신경다발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있는데 이런 통로가 좁아지는현상을 척추관협착이라고 하고

    노화가 되면서 디스크의 크기가 줄어들어 위아래 뼈가 붙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초코파이 윗빵과 아래빵이 마시멜로우가 없으면 붙는거라고 이야기하면 조금 이해가 되실까요?

    그럼 신경다발이 나오는 양쪽 옆에 추간공이 좁아지는데 이걸 추간공 협착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공간이 좁아지면 신경전달이 이루어지지 못해서 해당 신경분절 밑에 해당되는 부분이 저리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물리치료사입니다.

    허리 협착증은 신경이 지나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을 누르면서 발생하는 병변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좁아진 공간을 인대, 뼈 혹은 관절과 같은 딱딱한 조직이 누르게 되어 신경이 눌림에 의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라면 따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통증이 있다면 통증관리를 받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협착증이 심해지면 허리펴기도 힘들고 걷기도 힘들어져 고생을 많이 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으셔서 고민해결이 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디스크협착증은 없고 디스크탈출증과 척추관협착증이라는 진단명이 있습니다.

    디스크탈출증은 디스크가 뒤쪽의 섬유륜이 찢어지고 디스크의 수핵이 밖으로 탈출하는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척추관 협착증은 디스크 뒤에서 척수나 신경뿌리가 지나가는 부위인 척추관이 좁아진 상태를 이야기 하며 디스크탈출, 후관절비대, 황인대의 비대에 의해서 생길 수 있습니다.

    디스크 탈출에서는 허리통증, 다리로의 방사통, 다리의 근력저하가 생길 수 있으며 척추관 협착증에서도 디스크 탈출이 동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같은 증상에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생길 수 있는 파행증상 (걷다보면 다리 저림이 심해져서 잠깐잠깐 쉬었다 가야하는 증상) 이 함께 관찰될 수 있겠습니다.

    다른것 보다는 이 마비가 치료를 해도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 가능하면 초기에 허리를 굽히지 않는 요추전만 자세를 잘 유지해서 회복시키는게 바람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디스크 협착증은 주로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 혹은 디스크 주변 구조물 들의 퇴행성 변화등으로 인하여 신경관이 좁아지면서 허리통증 및 다리 방사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심한경우 신경을 크게 누르면 근력저하나 감각이상 등 증상이 나타날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협착증은 우선 척추 뼈와 뼈사이의 공간이있는데, 그 공간이 좁아지면서 디스크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눌린 디스크는 신경을 건드려 허리의 통증, 다리 저림, 다리의 힘 빠짐, 방사통 등을 유발하게됩니다.

    치료법은 주사 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이 있으며 통증이 심한경우 시술이나 수술을 권유하기도 합니다.

    퇴행성의 원인도 있지만, 목 허리같은 경우 운동량이 많고 체중지지를 많이 하다보니 잘 발생하게됩니다

    협착증은 보통 x-ray를 통해 구조상 확인이되며, 좀 더 정밀한 검사를 하려면 MRI 검사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