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지와싱탄입니다. 대통령이나 정치에 따라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이권이 바뀌나요 왜 투표를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조지와싱탄입니다. 대통령이나 정치에 따라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이권이 바뀌나요 왜 투표를 하는걸까요 집주인편 세입자편 따로 하나요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정치인들은 표심을 보고 정책을 많이 공약을 합니다. 저소득층이 표가 많으므로 저소득층을 위한 정책을 펼치는 정당도 있고, 또한 특정 계층을 위한 정책이 맞다고 해서 그러한 정책을 펼치는 정당도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그러한 계층을 정치인들이 표를 위해서 갈라치기 하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민주주의에서 사고의 자유뿐만 아니라 누구나 다 자기 생각이 있듯이 어느 누가 맞고 아니고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간에 생각의 차이가 난다고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만 투표권은 민주주의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즉 국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하나의 권리이자, 원하는 정치인을 선출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그리고 어느집단이든 본인에게 유리한 성향의 정치인이 있고 해당 정치인 당선을 위해 투표에 참여하게 됩니다. 그 결과 대통령의 정치기반이나 지지층에 따라 유리한 정책이 있을수 있고, 정치,사회,문화 전반에 변화가 나타날수 있습니다.
저소득층이라면 정치인에 따라 복지의 양이나 질이 변화될수 있고, 고소득층이라면 정치인 성향에 따라 강한규제가 적용, 또는 완화될수 있습니다, 질문처럼 저소득층과 고소득층간의 이권이 바뀌거나 하는것은 아니며, 두 집단의 통합을 목적으로 하지 양극화를 조장하는 정책을 펼치지 않는게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대통령이나 정치에 따라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이권이 바뀌는 것은 사실입니다. 각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이익을 조정합니다. 예를 들어, 윤석열 정부는 고소득층과 대기업에 대한 세금 감면 정책을 추진하여 이들의 이익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반면, 문재인 정부는 소득 재분배를 목표로 하여 저소득층을 지원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투표는 이러한 정책 변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투표를 통해 국민은 자신이 지지하는 정책을 추진할 후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민주주의의 핵심 원리로,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부동산 정책 역시 집주인과 세입자에게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임대차 3법은 세입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집주인과 세입자 간의 분쟁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민주주의는 모든 시람들에게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내세우며 자리잡은 정치제제입니다
그래서 유권자를 자기편으로 끌여들여야 선거에서 승리하여 권력을 국민으로 위임받아 봉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치집단의 가치에 따라 부자를 위한 정책을 추구하기도 하고 가난한자의정책을 추구하기도 합니다
정치집단의 최종 종목표는 집권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유권자는 주권자로서 국가와 역사 앞에 미래의 발전에도웅을주는 집단을선댁하여 후손에 부끄럽 없는 올바른 선택을 .하여야겠지요
강시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부자는 세금을 덜 거두길 원하고 가난한 사람은 국가에서 보호를 해주길 원합니다.
보호를 해줄려면 세금이 필요한데 이 세금을 부자들이 많이 냅니다.
그래서 이해관계가 다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