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물동량이 광양보다 부산에 많이 모이는 이유가 있나요?
항만 물동량이 광양보다 부산에 많이 모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이유가 있다면 어떠한 이유로 그럴까요?
세금 문제인지, 보관 문제인지, 이송 문제 등으로 그런것인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부산항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수출입항만 중 하나로, 특히 환적항만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항만은 세계에서 7위의 수출입항만과 2위의 환적항만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부산항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부가가치 물류활동이 이루어지는 국내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지역인 부산항 자유무역지역입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물류 활동이 펼쳐지며, 국제무역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의 한국경제는 수출지향적 공업화를 통해 고도로 성장하였고, 이에 따라 부산항 또한 점차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출지향적 공업화의 발전이 부산항의 성장을 촉진시켰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한반도 동남단(북위 35° 04′ 42", 동경 129° 01′ 01")에 위치한 부산항은 대한민국 제 1의 항만이며, 세계 제3위의 컨테이너 항만입니다. 부산항은 태평양과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항구는 산과 섬으로 둘러싸여 항내 수면이 잔잔하고 조수 간의 차가 적으며, 세계 3대 간선 항로에 인접하여 천혜의 항만 여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1876년에 부산포로 개항한 부산항은 1906년 처음으로 부두 축조 공사를 시작한 이후 지속적인 항만 개발을 거쳐 현대식 항만으로 발전하였습니다. 현재 부산항은 북항, 남항, 감청항, 다대포항 등 4개의 항과 6개의 컨테이너 터미널, 그리고 국제 여객 터미널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146척의 선박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29.2km의 안벽 시설과 연간 292,140천톤을 처리할 수 있는 하역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부산항과 광양항의 물동량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리적 위치 : 부산항은 한반도 동남쪽에 위치하여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의 국제물류 운송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반면 광양항은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집니다.
- 물동량 수요 : 부산항은 국내 최대 규모의 항구로서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모여 있어 물동량 수요가 많습니다. 반면 광양항은 제철 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동량 수요가 제한적입니다.
- 항만 시설 : 부산항은 대형 선박의 입출항이 가능한 수심과 넓은 야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신식 터미널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반면 광양항은 일부 터미널의 시설 노후화와 야드 면적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물동량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부산항의 물동량이 광양항보다 많은 이유에는 가장 우선적으로, 부산항은 동북아시아 해운의 중심지에 위치하여 주요 항만과의 거리가 가까울 뿐 아니라, 부산항은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발달된 물류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광양항은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항만으로, 물류 인프라가 부산항만큼 발달하지 않았으며, 부산항은 다양한 항만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물류 업체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부산항의 성장의 비결은 첨단 장비와 항만자동화 설비를 활용한 화물처리의 정시성(시간 준수), 지리적 요건을 최대한 활용한 항만 안정성, 17m 이상의 깊은 수심 등 3가지 효과로 집약됩니다. 이밖에 컨테이너 1개의 하역료가 5~6만원으로 중국 항만보다 저렴하고, 발달한 배후부지에서 물량이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점도 강점입니다. 단연컨대 부산항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유명하고 훌륭한 항이며 그 물동량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광양항은 첨단 장비의 경우 부산항에서 일반적으로 운영 중인 안벽 24열 크레인이 4대에 불과하며, 텐덤크레인(40피트 컨테이너 2개를 동시에 하역할 수 있는 컨테이너 크레인)도 전혀없어 수십대에 이르는 부산신항과 비교자체가 불가능합니다. 하역료도 1TEU에 3~4만원 정도로 부산항보다 더 저렴하지만 오히려 항만운영사들은 수지타산을 맞출 수 없는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부산항이 물동량이 많은 이유는 지리적 특성입니다.
중국 등 동북아시아 지역과 북미 지역을 잇는 태평양항로의 중심에 위치하고 북중국 및 일본 서안의 중소형 항만과의 강력한 피더 네트워크를 유지함으로써 환적물동량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본 환적물량도 부산항 항만물동량에 영향을 줍니다. 일본은 지역별로 자치단체가 항만을 운영하기 때문에 정책이 다릅니다. 자국간 경쟁이 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부산항을 통한 경유를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는 도시의 발전, 물동량, 보관능력 등으로 인한 것입니다. 당초에 부산이 먼저 개발이 되었고 이에 따라 보관능력, 관련 업체 운송 경로 등이 훨씬 더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리도 수도권으로 이송시에도 경부고속도로의 발달로 더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하기에 이러한 관행과 도시의 능력으로 인하여 부산이 더 발달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