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가 부동산 수요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은 무엇인가요?
인구 구조 변화로 인해 향후 몇십 년 후 부동산 수요는 어떻게 변할까요?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부동산 가격 양극화가 심해질 가능성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울은 땅면적이 좁아서 재개발이나 재건축으로 공급을 해야 되는데 모든것이 너무오른 이유로 못하고 있고 그래도 수도권까지는 수요가 있을것으로 봅니다
지방과 소도시들이 문제가 심각 합니다
인구감소와 공급이 많은 관계로 미분양이 늘고 있고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앞으로는 더 차별화가 심해질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저출산 및 고령화가 지속되면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일본의 예를 봐도 동경 등 대도시의 집값은 상승했으나 지방에는 공동화가 가속되어 빈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미 지방의 빈집 처리가 문제가 되고 있는데 서울 및 수도권에는 필요한 인구가 지방에서 상경한 젊은이들과 외국인 등으로 채워질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 시대가 도래로 한다는 것은 부동산시장에서는 장기적 안목에서 매우 커다란 연향을 초래합니다
인구가 증가되어야 주거시설이 필요하는 데 감소된다면 주거시설은 남아 돌게되어 가격은 폭락하게 됩니다
촤근 일부 도심지의 공동화 현상에서 앞으로 부동산 전망을 유추 해석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저출산 고령화는 부동산 수요에 장기적인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단 주택 수요를 감소시키고 도시의 구조를 변화시키며 고령주택 수요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먼저 단기적으로는 주택 수요의 감소가 예상됩니다. 소형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공공 주택과 임대시장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도시 인프라가 유지되는 곳으로 인구 쏠림이 심화되서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 거시적으로 볼 경우 주택수가 줄어 들고 주택 수요가 줄어 들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1인~2인가구가 늘어나는 추세 즉 인구는 줄어도 세대는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또한 서울과 수도권으로 인구 및 세대가 집중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즉 서울과 수도권의 경우 주택수요는 더 늘어나고 공급은 제한적이라 부동산 가격은 올라갈 것이고 반대로 인구유출이 심한 지방의 경우 부동산 가격은 하락을 하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수도권은 계속해서 원하는 수요가 있기 때문에 다른 지방이나 소도시와 양극화가 발생할 확률은 높습니다.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줄고있다보니 이미 소도시는 소멸에 길로 가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