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이해가 안되는데 원리가 먼가요?
공급과 수요의법칙이랑 전혀 상관없이 요새 물가가 천장부지로 오르고 있는데요 그렇다고 인건비가 많이 오른것도 아니고 국제유가는 떨어져서 원자재가격이 오른것도 아니고 동네에 봐도 똑같은 짜장면을 팔아도 4000원인데가 있고 8000원인데가 있습니다 손해보고 팔진 않을텐데 사람들의 욕심 때문에 물가가 계속 오른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 상승은 단순히 욕심 때문만이 아니라 다양한 경제적, 심리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1명 평가간단하게 어떠한 이유로 인해 한번 오른 물가는 쉽게 떨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는데에는 많은 요인들이 영향울 주게되고, 질문처럼 인건비나 국제유가가 떨어졌다고 하지만, 이전 상승폭이 너무 급격하였기 때문에 실제 하락하였다고 하더라도 이전 수준보다는 비싸고 그에 따라 시장 가격이 이를 반영하기 어려운 상황일수 있습니다. 또한 비용의 증가의 원인에는 고금리, 내수경기침체등에 따른 재고, 로스율증가, 수도,전기,가스등의 공공요금 인상여파등도 해당되며 이러한 부분들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기에 질문처럼 한 개개인의 욕심으로 물가가 오른다는 판단은 실제사정과는 맞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원자재, 인건비, 월세비용 등 매장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본인 건물에 무인으로 운영하는 매장은 상품 가격을 낮춰도 적자가 나지 않습니다.
반면 높은 월세를 부담하며 많은 직원이 있는 매장은 일정가격 이상 낮추면 적자가 나고요.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물가 상승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요 측 요인, 공급 측 요인, 그리고 외부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요 측 요인은 경제 성장으로 인한 수요 증가, 소비자 심리 개선, 정부 지출 증가 등이 포함되며 공급 측 요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 생산성 저하, 물류비 상승 등이 있습니다. 외부 요인으로는 환율 상승, 국제 정세 불안정 등이 물가 상승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동일한 상품이라도 판매처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임대료, 인건비, 유통 마진 등의 비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