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지방에는 미분양 아파트가 많던데 미분양이 많은대도 아파트를 건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온화한돌고래유니파파입니다.
요즘 지방에는 미분양 아파트가 많던데 미분양이 많은대도 아파트를 건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에는 그전에 분양했던 아파트들을 짓는다고 보시면됩니다
미분양이 나는데 지금도 분양을 하지 않을거라 봅니다
균형있게 발전이 됐으면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우선 부동산은 일반재화들과는 다르게 개별성과 부동성(고정성)이 있기 때문에 같은 아파트라도 위치한 입지에 따라서 수요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일반재화처럼 어디에 어떻게 있어도 동일한 가치를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아파트가 많아도 수요가 발생하는 아파트가 있고 그렇지 못한 아파트가 있습니다. 이게 계속적인 공급이 되는 가장 큰 이유이고, 그외 아파트의 경우 빌라나 다른 대체주택에 비해 수요가 많기 때문에 주택보급률이 100%가 되도라도 아파트보급률이 100%가 아니라면 사실상 수요가 없을수 없습니다. 그리고 아파트의 경우 공급까지는 2~3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미 2~3년전 부동산호황기에 공급을 시작했던 물량들이 현 부동산 상황과는 무관하게 공급될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부동산 침체에 따라 개발계획이나 건축계획 연기등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결국 2~3년뒤에 시장에 실질공급에 영향을 주게되고 해당시기에 부동산 호황기가 온다면 그때는 주택공급부족이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같이 대단위의 주택을 건설하는 것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돈도 많이 소요됩니다. 지금 시행하고 있는 공사들은 예전에 이미 브릿지론 등을 동원하여 토지를 구매하고 건설계획이 되어 있던 곳들인데 건설 착수는 안했어도 이미 토지매입, 인허가, 설계 등 많은 단계를 진행하여 지출이 많이 된 상태로 어쩔 수 없이 진행하는 곳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고금리 와 원가상승 등으로 건설사들이 돈되는 곳만 선별 수주하는 상황이기에 신규 인허가 물량이 많이 축소되어 향후 아파트 부족으로 집값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그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도 건설을 시작할 즈음은 부동산 호황기 였습니다.
아파트 건설이 하루 아침에 뚝딱 되는게 아니라 계획하고 건설을 시작할때 경기가 좋았다가도 준공할때즘 안좋아 질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인허가 물량도 적어지고 짓고 있던 현장도 부도도 나고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분양 아파트가 생기는 기간과 그 전에 이미 계획하여 PF 사전 청약 등 부동산 개발을 진행하는 시기와 차이가 있으며 이때에는 미분양이 안될 가능성이 높았다면 급격하게 경제가 좋지 않거나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을 경우 이미 진행되는 사안들은 그대로 진행해야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미분양이 속출하더라도 지을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고금리의 장기화, 정부의 규제 강화, 대출 규제등으로 부동산은 침체기 입니다.
아울러 지방은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지금 미분양 나는 아파트들은 부동산 침체기 이전 사업이 시작되어진것들이 지금와서 분양이 안되는 현상이고, 고금리의 장기화로 신규 사업은 대부분 중단 내지는 연기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건설 절차는 여러 단계에 의가 진행됩니다
그리고 공사기간은 적게도 2년 - 5년에걸쳐 완공됩니다
때로는 시행사의 문제와 시공사의 부도 등으로 건설과정 중에도 중딘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미분양 아파트는 건설공사가 완료된 상태이지만 공사중인 아파트는 이미1-2년 전 아파트 건설허가를 받은 상태라서 부동산경기 침체여부와 관계없이 건축가간내 완공 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미리 계획이 잡혀 토지를 매입하였거나 대출이 진행된경우로 이쩔수없이 진행해야하는곳이 많은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은 미분양이 많지만 서울, 수도권은 공급 부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부동산도 지역에 따른 양극화가 이어지고 있어서
계속해서 분양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