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박을 받았을 경우에 어떤순서로 해야 하는지 궁금 합니다.
협박을 받았다고 해서 바로 경찰에 신고 하거나 그래야 하는건지
아니면 어떻게 대응을 하고 안되면 신고 해야 하는것이 좋은지
알수가 없기 때문에 어떤 순서대로 대응하는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표 변호사입니다.
협박을 받았을때 대응을 하시기보다는 협박 증거자료 등을 확보하여 협박 고소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명백한 증거가 있을 경우 형사처벌을 받게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천우 변호사입니다.
협박 증거를 먼저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박 문자나 음성메시지, 이메일 등은 캡쳐나 녹음으로 보관합니다. 협박 현장에서는 되도록 증인을 확보하거나 영상/음성 녹음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협박을 무시하거나 차단하는 것도 한 방법이나, 생명이나 신체에 위험이 느껴진다면 즉시 112에 신고해야 합니다. 협박으로 인한 정신적 피해가 있다면 진단서를 발급받아 증거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단체나 다중의 위력을 보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한 특수협박의 경우 더 무거운 처벌을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협박을 당하신 상황이라면 언제, 어떤 내용으로 피해를 보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재한 고소장을 작성하여 가까운 경찰서에 제출하여 접수하시면 되겠습니다. 가능하면 협박을 당한 증거를 같이 첨부하여 제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자님이 개인적으로 대응을 하는 것은 또다른 피해발생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곧바로 신고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성재 변호사입니다.
구체적인 경우를 살펴보고 형사 고소를 할 것인지,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를 할 것인지 실익 검토를 해보아야 합니다. 일단 형사 고소를 위해서는 관련 증거가 명확하게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보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사안마다 상이한 것이고 협박의 정도가 지나지다면 곧바로 신고 후 도움을 받으셔야 하고,
일반적으로 협박을 받은 경우 거부 의사표시를 하고 거듭하여 협박의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 협박이나 스토킹처벌법위반으로 신고하면서 피해자 보호 조치를 요구하는 게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