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직장내괴롭힘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요새도 왜 갑질 문제가 끊이지 않을까요?

최근에 유명 연예인의 갑질 사례에서부터 기업이나 거래처 등 다양한 곳에서 갑질에 대한 이슈가 터지고 있더라고요. 저 역시도 일하다보면 갑질을 당하고는 하는데 이게 예전에야 그랬다고 치더라도 요새도 계속 되는게 참 안타깝더라고요. 왜 요새도 갑질 문제가 끊이지 않을까요? 돈이나 권력이 있는 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함부로 대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계급 문화 때문일까요? 아니면 권력을 가진 자들이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약자를 억압하는 것을 용인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갑질 문제가 끊이지 않는 데에는 여러 사회적 구조와 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우리 사회에는 여전히 위계적이고 권위적인 조직문화가 남아 있어 상급자의 부당한 언행이 ‘지시’나 ‘지도’로 포장되기 쉽습니다. 둘째, 계약관계에서 우위에 있는 자가 자신의 권한을 ‘정당한 권리’로 착각하고 행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셋째, 피해자가 불이익을 우려해 문제 제기를 하지 못하거나, 문제를 제기해도 실효적인 제재가 뒤따르지 않는 경우가 반복되며 관행처럼 굳어진 면도 있습니다.

    결국 갑질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법적 처벌 외에도 조직문화의 개선, 피해자 보호 시스템 정비, 사회 전체의 인식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갑질 내지 직장 내 괴롭힘의 원인은 다양한 관점과 차원에서 분석이 가능하겠지만 개인적 차원에서는 행위자의 성격,

    이런 상황을 문제시 하지 않는 조직 문화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지극히 개인의 인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성은 유전적 요인일 수도 있으나 제대로 사회화 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돈이나 권력을 가진 사람이 약자를 함부로 대하는 문화나 구조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피해자가 이의를 제기하기 어려운 구조나 처벌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점 또한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

    갑질 중 특히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갑질이 많아, 근로기준법 제76조의2에서는 직장내괴롭힘 규정을 두어 근로자를 보호하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정식 노무사입니다.

    인간의 속성에 기인하는 문제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근본적으로 인간은 타인을 지배하고 싶은 욕망과 이기심이 있잖아요. 그걸 개인의 수양과 사회적 문화로 자제하면서 현명한 사회로 나아가는 것일 겁니다.

    선진문화일수록 이러한 갑질은 줄어드는 것이 당연한 것이나, 현재 어느 선진 사회에서도 여전히 갑질 문화는 정도의 차이일뿐 남아있습니다.

    미국이나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의 직장생활을 그리는 드라마를 보더라도 갑질 문화가 우리나라보도 덜한 듯하지만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가 좀 더 심한 이유는 유교문화로 인한 영향도 있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