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영롱한초롱새434
영롱한초롱새43423.02.15

말라카 해협이 한국에게 요충지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말라카 해협이 동남아시아쪽에 위치한 해협이라고 들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무역의 요충지라는데 우리 한국이 교역하는대상은 미중일이 대부분인데 동남아에있는 해협이 왜 중요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유영 관세사입니다.

    말라카 해협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인도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 경로 중 하나입니다. 이 지역은 국제 무역에서 매우 중요한 지점이며, 특히 한국과 같은 수출국가들에게는 중요한 요충지가 됩니다.

    이 지역은 인도와 중국 사이의 경로와 일본과 동남아시아 사이의 경로를 연결하고 있어서, 유로파와 아시아 간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 때문에 말라카 해협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수송경로로 여겨지며,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은 매년 많은 양의 원자재 및 제품을 수입하고 수출하는 대규모 수출국가로, 말라카 해협을 통해 수입 및 수출하는 비율이 높아서 매우 중요한 요충지입니다. 따라서 말라카 해협은 한국에게 매우 중요한 경제적 이해관계가 있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한국의 말라카 해협을 통한 수출입 물동량은 매년 매우 큽니다. 국제해사운송업협회(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의 보고서에 따르면, 말라카 해협을 통해 수송되는 화물의 약 25% 이상이 세계 무역에 참여하는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고, 한국은 이 중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한국의 경우 2020년 기준 말라카 해협을 통해 수출입되는 물동량은 약 5천만 톤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세계 무역에서 한국의 비중이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주며, 말라카 해협이 한국에게 매우 중요한 경제적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방증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말라카해협은 인도네시아의 해협으로, 동남아시아 운송의 요충지입니다.

    external/rickroz...

    이는 한국입장에서 EU와 교역할때 필수적인 항로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루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말라카해협을 이용하지 못한다면 운송기간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역에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현재, EU수출 선박들은 이러한 말라카해협 / 수에즈운하를 지나서 EU로 향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인도양과 태평양을 연결해주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원래 인도양과 태평양을 넘나들 수 있는 항로는 여럿 존재하지만, 말라카 해협은 인도-중동-아프리카 지역과 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 지역을 최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는 루트입니다. 그 때문에 전세계 해상운송량의 20%가량이 이 항로를 통과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아시아의 주요 국가들이 중동에서 수입한 석유와 가스를 운송하는 항로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파나마 운하, 수에즈 운하와 함께 전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해상운송로로 여기 틀어막히는 순간 전세계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므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가 영해로 선포할 수 있는 지역이지만 해양법에 따라 국제수역으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시간이 조금 지나긴 했지만 코트라 무역관의 자료에 따르면 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


    이 원에 아시아 지역 물류의 최대 요충지인 말라카 해협에서는 동남아에서의 물자와 사람의 흐름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잇점도 있음. 말라카 해협은 석유가 생산되는 중동과 극동 지방을 잇는 가장 짧은 해로임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00&CONTENTS_NO=1&bbsSn=322&pNttSn=115096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