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EKOPFG
EKOPFG

부동산 용어중에 풍선 효과라는게 있다고 하는데 이효과는 어떤뜻이 있는가요

우리나라 부동산은 정말 말도 안되게 비싼것 같아요 그리고 서울같은

경우에는 죽을때가지 급여로는 집한체도 못구한다고 하는데요, 부동산

용어중에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풍선효과란 무슨뜻인가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에서 풍선 효과라는 의미는 다음과같습니다

    풍선은 한쪽을 누르면 다른쪽으로 부풀어오른 것으로 풍선안의 공기는 그대로 있는데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동일하게 부풀어 오른 현상을 말합니다

    구체적인 예는 강남3구지역이 투기과열부동산 가격을 왜곡 하다 보니 조정지역으로 지정하다 보니 투기자본이 다른 조정지역으로 묶이지 않은 지역으로 옮겨가는 현상을 픙선효과라고합니다

    따라서 10.15대책에서는 서울 전지역과 경기도 12개지역에 대하여 풍선효과를 사전 차단하기 위하여 조정지역으로 묶어 규제하었던 것입니디

    참고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풍선효과의 의미는 어떠한 문제를 해결해도 다른 문제가 또 불거지는 현상, 일반적으로 풍선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두고 풍선효과라고 합니다, 부동산에서 풍선효과는 쉽게 특정지역을 규제정책을 통해 압박하면 해당 수요가 그 인접지역 또는 비규제지역으로 확산되어 해당지역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쉽게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등 강력한 규제가 가해지자, 대체지역인 한강벨트내 성동, 마포의 수요가 살아가나고 그에 따라 해당 지역 가격이 크게 상승되는 현상도 풍선효과의 하나라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풍선효과는 싶게 설명을 하면 풍선의 경우 어느 한 부분을 눌리게 되면 다른 한 부분이 올라오게 됩니다.

    이러한 모습을 비유해서 표현하는 방식으로 정부에서 부동산 규제를 하기 위해서 특정 지역을 규제를 하게 되면

    부동산 수요들은 그러한 규제 지역을 피해서 다른 지역으로 투자를 하게 되면 다른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올라가는 것을 풍선을 눌리면 다른 곳이 올라가는 것에 비유가 되어 풍선효과라고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부동산에서 말하는 풍선효과란 정부가 특정 지역의 집값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규제를 강화하면 그 수요가 규제가 없는 인근 지역으로 이동해 오히려 그 지역의 집값이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용어는 풍선의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모습에서 유래했으며 부동산 시장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터진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풍선효과는 풍선의 한곳을 눌렀을 때 대신 다른 곳이 부풀어오르는 것처럼, 집값을 잡기위해 특정한 지역에 대해 규제를 했을 때 다른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며 집값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풍선효과는 특정지역의 규제가 강화되면 인접 지역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풍선처럼 나타난다는 뜻입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풍선효과는 단순하게 부동산 가격 이동 현상이 아니라 정책의 부작용으로 나타나는 시장 왜복곡 현상을 설명 할 때 자주 쓰이는 개념입니다. 부동산 수요자가 사라지지 않는 한 지역을 억누르면 다른 지역이나 가격대에서 다시 튀어나오는 것이 풍선효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지 공인중개사입니다.

    풍선을 한쪽에서 누르면 누른 부분은 줄어들지만, 다른 부분이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부동산에서는 정부가 특정 지역(예: 서울 강남)의 부동산 과열을 막기 위해 강력한 규제(대출 제한, 세금 중과 등)를 시행할 때, 투기 자금이 규제가 덜하거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주변 지역(예: 수도권 외곽)**으로 이동하여 그곳의 집값이 오르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규제를 피하고자 하는 수요가 규제망 밖의 지역이나 비규제 상품(예: 주택 외의 상업용 부동산, 토지)으로 이동하면서 가격 상승을 유발합니다.

  • 우리나라 부동산은 정말 말도 안되게 비싼것 같아요 그리고 서울같은

    경우에는 죽을때가지 급여로는 집한체도 못구한다고 하는데요, 부동산

    용어중에서 궁금한게 있는데요 풍선효과란 무슨뜻인가요

    ===> 풍선효과란 부동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개념인데 부동산에서는 한 지역의 규제나 가격상승이 다른 지역으로 수요를 밀어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서울에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면 투자자나 실수요자들이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외곽지역으로 눈으로 돌리게 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