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역세권에 들어가는 아파트 들은 죄다 주상복합 아파트인데 초역세권에 주상복합 아파트만 들어가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초역세권에 들어가는 아파트 들은 죄다 주상복합 아파트인데 초역세권에 주상복합 아파트만 들어가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주상복합아파트는 주택법이 아닌 건축법을 적용받고 상업지역이나 준주거지역에 지어져 용적률이 높기에 고층으로 지을 수 있습니다. 역주변이 상업지역이나 준주거지역인 경우가 많으므로 이런곳에 많이 건설되고는 합니다. 고층이기에 뷰가 좋고 기둥식 구조로 소음.진동이 덜하고 도심에 위치하고 상가도 있어 생활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주차장을 공급면적에 포함하여 전용률이 낮고 발코니도 없어 같은 평수의 아파트보다 좁아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대단지 아파트같이 커뮤니티 시설이나 부대 시설 등을 갖추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초역세권은 이동인구가 많게 됩니다
많은 이동 인구 지역은 자연히 상업활동이 활발하게 되며 각종 생활필수의 압무에 따른 임대사업이 성장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상복합시설의 확충은 접근성 업무 효율성 등의 요인으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활성화되는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초역세권에 들어가는 아파트 들은 죄다 주상복합 아파트인데 초역세권에 주상복합 아파트만 들어가는 이유가 따로 있을까요?
==> 우선적으로 거주자들이 단순 주거용 보다는 "상가 및 주거기능"을 원하기 때문입니다. 주상복합 아파트는 이러한 소요를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는 주거지역에만 지을수 있는데 주상복합은 준주거지나 상업지역에 지을수 있어서 바로 역세권에 있습니다
주상복합의 장점이기도 합니다
편리시설이 주위에 있어서 생활화기는 편리한데 녹지가 부족하고 공용면적이 많아서 관리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초역세권에 들어서는 아파트는 주거시설이 아니라 상업시설로 용적률이 주거시설에 들어서는 곳보다 높아 높게 지을 수 있습니다. 좁은 땅에 높게 지어서 수익성을 늘리기 위해 높게 짓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상복합은 상업시설 + 주거시설이 복합된 형태의 건물 입니다.
즉 많은 유동인구가 있으므로 상업시설의 효과를 보는 것이고, 또한 교통의 편리성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으므로
고층을 주거시설로 해서 주거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편이라 수요가 많이 있고, 인기가 좋습니다.
초역세권의 개발 사업이 있을 경우 가장 많이 토지를 매입하는 곳이 건설업체인 이유도 있습니다.
건설업체의 입장에서도 초역세권에 토지를 매입해서 주상복합을 짓게 되면 인기가 좋고 완판이 되기 때문에 많은 건설사들이 주상복합을 건축을 합니다.
즉 주상복합 하층부에 상업시설을, 상층부에 주거시설을 두어 상업시설의 고객과 주거시설의 입주민 모두에게 편리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고, 상업시설과 주거시설 모두에게 이익이 되며, 부동산 개발자와 투자자에게도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게 만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상복합 아파트는 일단 건축가능한 부지가 상업지역내서도 가능합니다. 그에 반해 아파트는 주거지역에 대해서만 건축이 가능한게 일반적입니다. 그에 따라 상권중심으로 역세권이 형성되는데, 바로 초역세권의 지역이 상업지역일 가능성이 높고 해당 지역에는 주상복합아파트는 건축이 가능하지만, 일반 아파트 단지는 건축이 불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