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MinJun Kim
MinJun Kim

3세 여아의 예쁜 말 습관, 어떻게 길러줄까요?

3세 딸이 이제 막 말문이 트이기 시작했습니다. 고운 말을 사용하고, 남을 배려하는 언어 습관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실천 팁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말이 트일 시기에는

    적절한 행동,언어 등을 알려주어 상대와 적절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은데요.

    이 시기에 시작하는 행동지도 및 교육지도는 기본생활습관, 인성, 예의(예절) 부분 이겠습니다.

    이러한 부분의 교육과 행동지도는 매일 밥상머리 교육 시간을 통해서 꾸준히 매일 반복적으로 알려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고 아이에게 교육시켜 주는 것이 아이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실천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되겠습니다.

  • 아이에게 바른 말하는 습관, 남을 배려하는 언어 습관을 길러주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게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부모가 먼저 바른 말의 모델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배려의 언어를 놀이처럼 익히기, 그림책과 이야기를 활용하기, 바른 말을 했을 때는 크게 칭찬하기 등의 방법을 실천함으로 아이의 긍정적인 말과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혜진 보육교사입니ek.

    3세 아동이 예쁜 말 습관을 길러 주기 위해서는 주변에서 좋은 말을 하는 습관을 보여 준다면이는 아동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 아동 또한 이런 예쁜 말을 쓰는 방법을 체험하고 학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예쁜 말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부모는 아이에게 가장 큰 언어 모델이 됩니다 부모가 일상에서 긍정적이고 공손한 표현을 자주사용하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그 말투를 따라하게됩니다

    감사,양해,배려를 담은 표현들은 생활속에서 자주 사용하고 상황에 맞는 말투를 일관되게 보여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또한 아이가 사용한 고운 말에 대해 구체적이고 따뜻하게 반응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단순히 "잘했어"라는 칭찬보다 어떤 말이 왜 예쁘고 좋은지 짚어주면 아이는 그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하게됩니다

    반복적으로 긍정적인 언어 사용이 강화되면서 습관으로 굳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예쁜말을 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롤모델이 되어야 합니다. 부모가 먼저 좋은 말, 예쁜말을 많이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이제 말 말이 트이는 아이들은 부모나 어른들의 말의 모습을 보고 따라하면서 배웁니다.

    부모는 항상 고운말과 존댓말을 사용하면서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반복해서 들려주고, 다양한 감정의 표현들을 알려주세요

    칭찬을 할 때는 구체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세 여아에게 예쁜 말 습관을 길러주려면 부모가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고마워', '미안해'같은 말을 자주 사용하고, 아이가 따라 했을 땐 따뜻하게 칭찬해주세요. 책 읽기, 역할놀이 등을 통해 상황별로 예쁜 말을 익힐 기회를 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에게 먼저 보호자가 예쁜 말, 감사와 배려의 표현을 자주 들려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고마워, 미안해, 괜찮아 등과 같은 표현을 일상 속에서 반복하면서 모델링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형이나 동물 인형을 활용한 역할 놀이를 통해서 바른 말을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연습도 효과적입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고, 예쁜 말을 했을 때에는 꼭 멋지게 말했다고 칭찬해 주세요. 동화책이나 그림책 등을 같이 보고 읽으면서, 주인공의 말투나 행동을 함께 이야기해 보고 따라하는 것도 좋은 언어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아이가 부담 없이 즐겁게 말할 수 있는 따뜻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