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끝까지희망을주는찜닭
끝까지희망을주는찜닭

2025년도는 건설경기가 어떨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2024년도까지 계속 건설경기는 안좋고 건설사 주가도 곤두박질치고있는데요,.

트럼프가 집권한것도 있고,, 2025년에 건설업 경기는 어떨지 전문가님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건설주의 내년전망도 그렇게 좋지는 않습니다, 국내 상황으로는 부동산 pf대출이 까다로워지면서 개발산업참여가 제한적일수 있고 물가인상에 따른 건설비용 상승으로 주택개발사업 수주물량이 줄어든 점이 있고, 그동안 부동산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기존개발사업에 따른 부동산 pf대출 상환부담, 유동성 악화등의 여파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그리고 국외 상황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등의 기대감은 있지만 실제 전쟁지원정도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가 해당 재건사업으로 큰 이득을 얻을 가능성도 낮기 떄문에 수익을 창출할수있는 수주가 기대만큼 커질 가능성은 낮아 보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새해의 건설 경기는 비관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왜냐 하면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 되어야 건설 경기가 살아 나는데 현정부의 주택담보 대출 규제가 강력하여 풀리지 않는 한 수요자는 감소하여 부동산 경기는 침체하리라 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금리의 장기화와 정부의 부동산 규제, 대출규제로 부동산 침체기에 있습니다.

    또한 고금리와 건설원가 상승 및 인건비 상승으로 건설업 또한 좋지 못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고분양가가 나오게 되고 미분양으로 타격을 입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년이 되면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이 종식이 되면 재건사업으로 건설업계가 그나마 일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금리인하로 인해 올해 보다는 좀 더 나은 회복세를 보이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설을 한다고 해도 인건비,자재값,금리 모든게 올라서 공사를 안하는게 손해가 덜하다고 할정도이니 부동산은 암울한 시기입니다

    그래도 1기 선도지구가 발표를 해서 계획대로 빨리 진행을 한다면 그나마 건설경기가 살아나지 않을까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서 내년도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2.2%증가한 210조 4000억원, 건설투자는 2.1% 줄어든 295조 3000원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주택부문에서 인허가, 금융, 공사비, 사업수지, 미분양 리스크 등 물량 측면에서 우호적인 변수가 없는 가운데 2023년 21만호, 올해 25만호로 2년 연속 신규 분양 물량의 급격한 감소로 입주 물량 부족이 예상됩니다.

    공공건설부문에서는 내년도 SOC 예산을 올해보다 3.4% 감소하여 당분간 국내 건설 경기가 좋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