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놀이 후 정리정돈을 잘하지 않을 때 이를 자연스럽게 습관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본인이 한 일에 대해 뒷처리를 잘하지 않네요. 놀이를 하고나서도 정리정돈을 잘하지 않으니 제가 잔소리를 하게 되고 관계에 안좋아지는것 같습니다.
아이가 놀이를 한 후에 정리정돈을 하지 않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에게 관찰한 상황을 이야기 해줍니다.
그런 후에 부모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놀이를 한 후에는 가지고 논 물건은 정리해줬으면 좋겠어' 라고 부탁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와
C놀이를 하고 난 후 D놀이를 할 때는
C놀이에 사용한 물건을 모두 정리한 후에 D놀이를 할 수 있다고 약속을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놀이가 끝난 후에는 정리하는 시간을 함께 가지며 책임감을 키워 주세요. 정리를 완료하면 작은 칭찬이나 보상을 주어, 자연스럽게 습관화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놀이 후 정리정돈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
첫째, 정리정돈에 의미를 몰라서 입니다.
둘째, 부모님이 알아서 정리를 다 해주었던 습관이 있었다면 아이는 엄마가 다 알아서 정리해줄텐데 라는 마인드를 지니게 되어 자신 스스로 정리를 하려는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 입니다.
우선은 아이에게 정리 라는 단어의 의미를 알려주고, 왜 정리정돈을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알려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정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부모님이 크기별, 색깔별로 정리를 아이와 함께 합니다.
그리고 매일 정리하는 시간을 통해서 부모님과 함께 정리 정돈/청소를 진행해 주세요
좋은 습관은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해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정리정돈을 습관화하려면, 이를 강압적으로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끌어가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우선, 정리정돈을 일상적인 루틴의 일부로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아이가 놀이를 마친 후, 정리하는 것이 놀이의 자연스러운 끝이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매번 놀이 후에 일정한 순서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놀이가 끝나면 "이제 우리 함께 장난감을 정리하고 다음 놀이를 시작하자!"라는 식으로 놀이와 정리가 하나의 흐름처럼 연결되도록 해보세요.
모델링도 중요한 방법입니다. 부모가 스스로 정리정돈을 실천하고, 아이가 그것을 보고 배우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장난감을 정리하는 모습을 아이가 함께 따라 하게 하거나, 부모가 스스로 물건을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그 행동을 모방하게 됩니다.
또한, 아이의 능력에 맞는 작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큰 상자나 바구니에 모든 장난감을 넣게 하고, 나중에는 아이가 스스로 카테고리별로 정리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정리 후에는 작은 칭찬을 통해 아이가 뿌듯함을 느끼게 해주세요. “정리 잘했네, 정말 깨끗해!”라고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그 행동을 긍정적인 경험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정리정돈을 게임처럼 만들어 주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시간을 정해놓고 “이 시간 안에 장난감을 다 정리할 수 있을까?”라고 말하며 놀이처럼 다가가면 아이는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리정돈을 게임처럼 유도하면 아이가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정리정돈을 하지 않았을 때 자연스럽게 결과를 경험하도록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장난감을 정리하지 않으면 다른 놀이가 줄어들거나, 원하는 장난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경험하게 해 주세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아이는 정리정돈을 하지 않으면 불편함을 느끼게 되어 점차 스스로 정리할 수 있는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정리정돈 습관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정리해라"라는 말을 반복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정리정돈이 왜 중요한지, 그것이 어떻게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지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아이에게 정리정돈을 하나의 놀이처럼 제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정리정돈 게임"을 만들어 정리하는 일을 재미있게 느끼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배웁니다. 부모가 먼저 정리정돈을 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따라 하게 됩니다. 아이에게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시키지 말고 작은 목표부터 설정하세요. 예를 들어, "이 장난감만 먼저 정리해 볼까?" 또는 "이 블록만 이 상자에 넣으면 끝이야"처럼 단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아이에게 정리정돈을 자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세요. 예를 들어, 방이나 거실뿐만 아니라 아이가 사용하는 물건이나 책도 스스로 정리하도록 유도합니다. "너의 책상도 정리해볼까?" 같은 작은 일부터 시작하면 아이가 책상 정리를 습관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정리정돈을 자연스럽게 습관화하려면 일관된 규칙과 함께 아이가 스스로 즐길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의 꾸준한 격려와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아이는 점차 정리정돈을 자발적으로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참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