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민이 적은 아파트 관리비는 어떻게??
예를들어 100세대인곳에 관리비가 100만원이 나왔습니다. 근데 입주민이 10세대라고치면 10세대가 10만원씩 내서 100만원을 맞춰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세대수가 많으면 관리비가 적게 나온다는 얘기가 일반관리비를 서로 나눠서 내기때문에 적은데 세대수가 적으면 많이 나올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부분때문에 대단지를 선호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단순 산술과정이라면 그렇지만, 아파트 관리비는 전용면적에 따라서 차등 부여가 됩니다, 즉, 100세대가 모두 동일한 평수라면 똑같이 나누어 부담하는게 맞지만, 평수가 각각 다르다면 더 큰 평수는 더 높은 관리비를 부담하고, 평수가 적은 세대는 이보다 낮은 관리비를 부담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같은 조건이라면 세대수가 많은 경우 관리비를 세대수로 나누어 내게 되니 관리비가 적게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관리비의 양은 아파트의 연식에 따라서 차이가 많게되는데, 오래된 아파트는 하자 보수 기간이 지나서 공용시설을 수리하게 되면 각 세대가 나누어서 비용을 부담하므로 관리비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정확히 그렇게 관리비를 책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세대수가 많은 곳에 비해서 세대수가 적게되면 그만큼 관리비를 내는 비율이 조금 높기는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단지라고 해서 관리비가 적은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세대수가 적은 곳에 비해 세대수가 높은 곳이 적게 나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관리비는 1/n이라 세대 수로 나눈 값이 관리비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관리비의 경우 공용관리비는 세대별로 나누어서 내고 세대관리비는 사용량 만큼 지불을 하게 되어져 있습니다.
즉 공용관리비의 경우 세대가 많을 수록 좀 더 유리하고 세대관리비는 사용하는 만큼 내기 때문에 세대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즉 세대가 많을수록 공용관리비가 줄어드는 효과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