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ASDXC
ASDXC

매년 수도권에 최소 10만채의 주택이 공급되고 있는데요 수도권 집값을 잡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는 매년 수도권에 최소 10만 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인데요 그런데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이 매년 치솟고 있는데요 왜 이렇게 수도권 집값을 잡지 못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실제 공급의 증가가 이루어지더라도 수요의 증가가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기 떄문입니다. 특히나 최근처럼 지방소멸화와 주택양극화로 인해 투자수요가 모두 서울,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투자수요증가가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공급이 늘어난다고 해도 모든수요를 충족시킬수 없기 떄문입니다. 또한 사회구조상 인구감소시기에도 수도권내 인구유입은 늘어나는 추세라는 점, 서울권 내에서도 아파트 선호도가 높은 우리나라 거주특성으로 인해 공급이 이루어 지도라도 수요 대비 공급부족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은 직장, 교통, 교육 등 핵심인프라가 집중되어 있어 수요가 과도하게 많습니다. 또한 공급은많지만 강남, 마용성, 판교 등 집중 수요가 몰리며 입지별 쏠림 현상이 강한 특징이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의 가격 상승이 잡히지 않는 이유는, 단순히 공급량 에만 그 원인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수도권 전체를 보면 물량이 많은 것 같아도, 실제 수요는 경기 남부 핵심지역에만 몰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공급은 외곽 지역 혹은 경기 북부 지역에만 몰리고 있어서 수요와 공급의 지역적 불일치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남는 곳은 안사게 되고 , 공급이 없는 곳에만 사람이 몰리는 것이지요.

    그리고 GTX 나 교통 개발호재로 특정지역에만 수요가 몰리는 것도 한몫 합니다.

    예를 들어 GTX-B 수혜지역인 남양주, 송도 ,용인 등은 최근에 많이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을 보면 알수 있습니다.

    이것처럼 통계가 수도권 = 10만호 라고 되어 있지만, 좀더 내부 사정을 살펴 보면 공급지역부터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고 남들이 다 원하는 곳을 같이 원하다 보니, 수요가 몰려 집값은 잡히질 않고 있는 것입니다.

    질문에 답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수도권이라고 해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은 서울과, 수도권 핵심지역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공급은 많지만 원하는 입지엔 항상 부족한 현상이 나타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원하지 않는 입지에선 오히려 미분양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10만 가구 공급이라 해도 입주까지 5~10년 소요되는 경우도 많고 현재 시장에 영향을 주는 건 입주물량이지 공급계획이 아닙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서울의 집값상승의 주 원인으로 강남3구 및 마용성등의 인기지역이 상승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들이 인기가 좋은 곳으로 주택 수요가 몰리고 공급이 제한적이라 가격이 상승을 하고 똘똘한 한채 심리 현상으로 양극화가 극대화 되어 주로 강남3구 및 마용성등의 경우 가격이 상승을 하고 이러한 인기지역이 서울 평균 집값상승으로 주 원인으로 지목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도권에 매년 10만 가구 이상 주택이 공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오르는 이유는 단순히 공급량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요·입지·정책·심리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공급이 많다는 것은 전체 숫자일 뿐이고,

    원하는 곳에,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형태로 공급되는가가 핵심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의 심리·정책 불신·자산 양극화 같은 구조적 문제가 겹쳐져

    수도권 집값이 쉽게 잡히지 않는 구조인거 같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