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감기로 땀이 날 때 어떻게 해주는 게 좋은가요?
열감기로 땀이 날 때 어떻게 해주는 게 좋은가요?
아기가 38도까지 올라 해열제를 먹이니 몸은 뜨겁지 않은데 머리에는 땀이나네요. 옷 벗기고 시원하게 해줘야 하나요? 아니면 따뜻하게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열이 오를 때는 열 발산을 막을 수 있는 두꺼운 이불이나 옷은 피하는 것이 좋고 미온수 마사지와 해열제 복용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해열 작용으로 약 복용 후 땀이 많이 날 경우 마른 수건을 이용하여 땀을 닦아 주거나 젖은 옷을 갈아 입혀 지나치게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아이가 열감기로 땀이 나면 몸에 옷을 벗기고
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닦아내주세요.따뜻하게 싸매시면 피부발진 올라올수 있습니다
38도까지 체온이 올랐다면 해열제를 먹인 것은 잘하셨어요. 해열제 복용 후에는 열이 내리면서 땀이 날 수 있는데, 이는 정상적인 반응이에요. 다만 땀이 많이 나서 탈수가 우려된다면 수분 섭취를 늘려주시는 게 좋겠네요.
아기의 의복은 실내 온도를 고려하되, 너무 많이 껴입히기보다는 적당히 입혀주시는 게 좋아요. 땀이 많이 날 경우 속옷은 면소재로 갈아입히고, 이불은 가볍게 덮어주세요. 열이 떨어지고 있는 중이라면 갑자기 찬 환경에 노출되기보다는 서서히 체온을 조절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열감기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열이 계속 높게 유지된다면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아기의 상태를 꼭 면밀히 관찰해주시고, 규칙적인 수유와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해주세요.
발열이 있고 해열제를 먹이게 되면 체온을 낮춰주면서 동시에 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땀을 흘린다고 하여서 따뜻하게 해주는 것은 오히려 체온을 다시 올릴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 옷을 벗기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동시에 미온수로 아이의 땀과 함께 얼굴, 몸 등 부위를 닦아주고 관리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아이가 너무 추워하거나 체온이 너무 낮아지는 소견이 보인다면 그 때에는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해열제를 먹여 체온이 내려간 상태에서 땀이 나고 있다면, 땀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아기를 너무 덥게 입히지 않고 시원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옷을 너무 많이 입히면 땀이 증발하지 않아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오히려 체온이 다시 올라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기가 땀을 흘리고 있을 때는 가벼운 옷을 입히고, 땀이 많이 난 부위는 마른 수건으로 부드럽게 닦아주며, 땀으로 인해 젖은 옷은 갈아입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 온도는 시원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유지하되, 너무 차갑지 않게 조절합니다. 또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게 하여 탈수를 방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아기가 추워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체온이 갑자기 내려가지 않도록 합니다. 아기가 떨림이나 추위를 느낀다면, 가벼운 담요를 덮어주어 체온을 적절히 유지하게 합니다.
대면 상담없이 작성된 댓글은 참조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개인적으론) 땀에 젖은 몸을 딱아주고, 옷을 갈아입히고,
얼굴은 시원한 물수건으로 딱아 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열이 계속 안 떨어지고 오르는 추세라면
미지근한 물로 전신을 맛사지 하고, 추가 해열제를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