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디발가락 쩍에 통증이있습니다 궁금해요
엄지 발가락 밑쪽 통증이 있는데 정형외과를 가야하나요 통풍을 의심해 내과로 가야하나요
욱씬욱씬한 통증 이있어요 열감이나붓기는 없습니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열과 붓기가 없다면 다행이지만 통증이 있다면 가까운병원에 방문하셔서 여러가지 검사와 진료를보시는걸 권해드립니다!
통풍의 초기증상일수도있고 관절염이나 무지외반증등 발가락에서 나타날수있는 질환의 초기증상일수있기때문에 검사를 받아보시는게 좋습니다!
집에서 할수있는방법은 차가운찜질 아침저녁으로 10분정도씩 적용해주세요!
빨리 몸이좋아지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수 물리치료사입니다.
질문의 내용 만으로는 문제의 원인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욱신거리는 통증이 있었다면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통풍의 가능성도 없지는 않아 보입니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가까운 병원에 방문 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통풍같은 경우 엄지발가락 쪽에서 많이 발생하기는 하나, 열감이나 붓기 등이 동반되지 않은 것으로 보았을때 통풍이 아닐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발가락 주변부의 근육이나 힘줄 혹은 다른 연부조직의 긴장 혹은 손상으로 인한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까운 정형외과 가보셔서 검사를 받아 보시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임종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엄지발가락이 아프다고해서 무조건 통풍은아니기때문에 관절자체의 문제인지 통풍의 문제인지 혹은 허리신경으로 인한 방사통인지 등등을 평가하기위해 정형외과 혹은 신경외과 둘중하나로 가시는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발가락 자체의 문제를 먼저 파악하기위해 정형외과를 먼저 보시는것이 더 좋을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발에 최근 무리를 한 것이 있었다면 정형외과를,
큰 무리 안했는데 왜 아프신지 모르시겠다면 내과를 가셔서 진료를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통풍에 대해서는 정형외과에서도 충분히 진단이 가능하니 일단 정형외과에 방문하시는게 좋습니다.
초기에는 열감과 붓기가 없음에도 증상을 진단받을 수 있는데요, 통증 자체가 줄어들지 않는다면 정확하게 검진을 받는게 좋겠습니다.
환자분들의 건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질문처럼 통풍은 주로 엄지 발가락에 통증을 유발하며 통증이 갑작스럽고 강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열감이나 붓기도 동반되니 이런것은 없다고하니 통풍이 아닐 확률이 증가합니다
또 다른이유로는 발가락 주변의 근육이나 힘줄이 긴장하거나 염증이 생길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내과보다는 정형외과를 가시는것이 맞지않나 싶습니다 정형외과를 먼저 내원해보시고 명확한 원인이 나오지않는다면 내과를 두번째로 방문해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 정확한 진단을 확인하기 어렵기에 정형외과에 내원하셔서 필요에따라 협진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통풍도 정형외과에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우선 발가락의 통증은 신경 및 근육의 문제로도 볼 수 있기에 검사 후 전문의에게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현재 증상은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 등에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사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통풍을 의심하시는 것이라면 내과를 가시는 것이 정석이지만 관절염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정형외과에서도 진료를 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가까운 쪽 편안한 쪽으로 가셔서 진료를 받아주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엄지 발가락 밑쪽의 욱신 욱신한 통증이 있다면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통풍이 의심되는 경우 내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지만 정형외과에서도 발가락 통증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열감이나 부기가 없다면 통풍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열감이나 붓기가 없는 경우라면 우선은 근골격계 통증을 진료하는 진료과를 방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진료과에 방문하셔도, 피검사를 통해 요산슈치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통풍성 관절염에 대한 검사를 받아보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