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엄청난참고래63
엄청난참고래6323.03.30

부동산에서 용적률이라는게 정확하게 뭔가요?

부동산중에 아파트를 검색하다보면 용적률이라고 나오는데 많이 들어보긴 한거 같은데 정확하게 용적률이 뭘의미하나요? 그리고 용적률이 높은게 좋은가요 아니면 낮은게 좋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1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율은 대지면적에서 어느정도 높이까지 건물을 지을 수 있을지를 결정 짓는 용어 입니다.

    당연히 높을수록 높게 지을수 있기에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지 100평, 건폐율 50%, 용적율 300% 라고 가정하면

    건물은 한증은 최대 50평까지 지을수 있으며

    총 6층까지 건물을 지을수 있습니다.

    용적율은 대지면적 만큼의 크기 건물을 몇층까지 지을수 있냐기에

    100평을으로 건물을 지었다면 3층까지겠지만, 대지면적에 반인 50평으로 지었기에 두배인 6층까지 지을수 있다는 뜻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율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물의 연면적의 비율 즉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합니다. 대지면적은 건축물을 지을 수 있는 대지의 넓이를 말합니다.

    용적율은 수직적으로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느냐는 비율을 말합니다.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건축물을 높게 지어서 세대수가 많아져서 수익을 올릴 수 있으니 시공사 입장에서는 유리하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안전한 아파트단지 조성을 위하여 화재.소방.피난 등의 방재안젓을 위한기준을 법령보다 높게 개선하는 경우 용적율 인센티브를 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율이란 대지면적에 얼마나 많은 면적의 층수를 쌓을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100평 대지에 한개 층이 50평인 건물을 10층 올린다면,

    50평 x 10층 / 100평 대지면적 x 100%= 500% 용적율이 나옵니다.

    따라서 용적율이 높아야 건물을 더 높게 지을수 있고

    높게 지을수 있다는 것은 그 땅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기 때문에

    부동산 측면에서는 좋습니다 :)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토지면적 대비 건물 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연면적은 지층, 주차장, 옥탑, 대피공간 면적등은 제외되니 용적률에서 제외된다고 보면 됩니다.

    구축아파트는 저층이고 지상주차장이 넓으면 용적률이 낮아 재건축 사업이 유리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규로 주택을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 용적률이 놓으면 바닥면적이 넓어지거나 높이 건물을 건축할 수

    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재건축을 위해 용적률이 높은 것이 좋습니다.

    쉽게 말해 용적률이 높으면 건축물을 높이 올릴 수 있습니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해 지상층 (바닥) 면적의 합이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지하층의 면적은 포함되지 않고요, 지상층 중 주차장 용도 면적, 그리고 초고층 빌딩의 피난안전 구역 면적도 제외됩니다. 쉬운 설명으로 용적률이 높다는 말은 결국 건물이 고층으로 올라간다는 것입니다.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같은 땅면적이라도 지을 수 있는 건축 면적이 많다는 것이고 그렇기에 투자 가치 역시 높다고 여겨집니다.

    지상층 면적의 합은 다른 말로 '연면적'이라고도 합니다. 연면적이랑 용어를 써서 용적률을 나타내면 '대지면적 대비 연면적의 비율'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용적률에서 한 가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할 점은 건축면적이 아닌 '바닥면적'을 활용한다는 것입니다. 바닥면적은 기둥이나 외벽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말합니다.



    그림에서도 이해할 수 있듯이 대지면적이 100제곱미터이고 지하층을 뺀 1층부터 3층까지의 각 바닥면적의 합이 150제곱미터라면 용적률은 150%가 되는 것입니다.

    쉽게 건폐율/용적률 =층수 가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석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 이란 건축물의 각층의 연면적 즉 넓이의 합을 대지 면적으로 나눈것을 말합니다.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고층건물로 그 가치도 크다고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은 건축물 총면적(바닥면적의 합)의 대지면적에 대한 백분율을 말합니다. 이러한 용적률은 건물 층수를 결정하게 되는 부분입니다. 보통은 용적률이 클수록 건물층수는 높아질 수 있고 용적률이 작을수록 건축층수에는 제한을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좋고 나쁘고는 없습니다.

    만약 재건축이나 재개발 구역인 곳에 집을 가지고 계신다면 당연히 용적률이 낮은 물건을 가지고 계셔야 추후 부담금이 줄어들고 만약 이것이 개발이 된다고 하면 용적률이 높게 종상향 되어 개발되는 것이 좋죠.

    용적률을 예를 들어 100평의 땅에 건폐율이 100%이고 용적률이 150%이다라고 한다면 1층은 100평 모두 땅에 꽉 채워서 지을 수 있고 나머지 50%는 2층으로 올려서 지을 수 있는 겁니다.

    용적률이란것은 땅 면적에 대해 더 높게 지을 수 있는 범위인거죠.


  • 안녕하세요.

    용적률은 대지면적 대비 건물연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대지면적이 100평이고,

    건물면적이 50평, 4층으로 되어 있다면

    건물면적 50평 * 4층 = 200평의 연면적이 나옵니다.

    200평(건물연면적) / 100평(대지면적) = 200%(용적률)이 나옵니다.

    그래서, 용적률이 높을수록 더 높은 건물을 지을수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호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축물에 있어서 용적율이란 건축물의 총면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토지 100평에 건물을 30평을건축한다면 건폐율이 30%이고

    30평씩 5층을 건축 한다면 용적율은 건축물의 총면적 즉, 30×5=150 용적율 150% 가 됩니다. 그러므로 용적율은 높은것이 좋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용적률 :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


    쉽게 표현해드리면

    - 땅(대지) : 100m2

    - 4층건물 각층면적 50m2 (총면적 50x4 =200m2)


    - 용적률 = (4층면적 합계 200m2)/대지면적(100m2) × 100% = 200%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