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임금·급여 이미지
임금·급여고용·노동
풋풋한사슴176
풋풋한사슴17623.03.21

최저시급시 급여계산 중 질문사항이예요

상시 근로자 5인미만 회사입니다.

최저시급시 주휴시간 포함 209시간을 계산하여 월급을 계산하는대요

1. 토요일 출근 (8:30-17:30) 을 하게되면

최저시급x1.5x8 을 추가로 지급해야하는게 맞는지요?

2. 한달 209시간으로 계산이 되면 만약 하루8시간 결근을 하게 된다면 월 급여 계산을

최저시급x201로 하면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노무사입니다.

    1번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할증수당을 계산시에는 통상임금으로 계산을 하는데 질문하신 사업장은 상시근로자수가 5인 미만이라 할증수당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근로자수는 별론으로 하고 최저임금과 통상임금이 같다면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시간급×근로시간을 산정하면됩니다.

    2번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하루 결근을 할 경우에는 하루분만 공제되는것이 아니라 결근한 주의 주휴수당 하루분도 공제를 하여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토요일 출근하여 근무할 경우 1주 40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에 해당한다면 최저시급의 1.5배를 가산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다만, 상시 근로자 수 5인 미만 사업장이라면 시급의 1.5배를 가산하지 않고 최저시급 기준으로 임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출근해야 하는 소정근로일에 출근하지 않고 결근할 경우 결근일과 해당 주의 주휴수당이 공제되게 됩니다.

    따라서 1일 결근한 경우 임금은 2일(주휴수당 포함)분이 공제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1. 토요일 출근 (8:30-17:30) 을 하게되면

    최저시급x1.5x8 을 추가로 지급해야하는게 맞는지요?

    >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에는 1.5배가 붙지 않습니다.

    2. 한달 209시간으로 계산이 되면 만약 하루8시간 결근을 하게 된다면 월 급여 계산을

    최저시급x201로 하면 되는건가요?

    > 시급제라면 그냥 그 월에 근무한 시간수 * 시급 하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1. 상시근로자 5인 미만 사업장은 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시급으로 지급해도 됩니다.

    2. 네. 하루를 아예 빠진 결근이라면 주휴수당 8시간도 제외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5인미만 사업장의 경우에는 연장, 야간, 휴일근로에 대하여 가산수당(1.5배)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2. 한주 40시간을 초과하여 토요일 8시간을 근로하더라도 최저시급 x 8로 계산하여 지급하면 됩니다.

    3. 네 그렇게 계산하셔도 됩니다. 다만 하루 결근시 주휴수당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주휴수당 공제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상시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인 경우에는 연장근로를 하더라도 50퍼센트의 가산수당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결근 시 해당일에 대한 임금과 별개로 주휴수당의 공제가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1. 맞습니다.

    2. 결근일과 주휴수당 합산하여 16시간분을 공제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1.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인 사업장은 1.5배를 가산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2.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 "월급여÷월일수×(월일수-결근일수-주휴일수)"로 산정하여 지급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휴일연장근로가 적용되지 않아 휴일에 근로를 제공하더라도 통상시급×휴일근로시간에 해당하는 임금이 지급되면 됩니다. 한편,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시간에 대하여서는 공제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