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희망풍차
희망풍차

원래 순자산의 1-2프로 정도 수익엔 둔감한가요?

지금 코인으로 2천정도버는데 순자산이 10억이니 2천 수익보고 있어도 크게 좋은것도 모르겠고 빼지도 않고 있는데 다들 이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체감 호용 체감 때문입니다. 금액은 커 보여도 전체 포트폴리오에서는 미미합니다. 해결은 절대금액 목표 + 리밸런싱 규칙을 정해 이익 확정 루틴을 만드는 것입니다. 심리적 만족을 위해 목표 달성 시 부분 익절을 자동화 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10억의 2%면 2천만원인데, 절대적인 금액이 워낙 크다보니 둔감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아마 글쓴이님이 이미 크게 생각하지 않을 정도로 많이 수익을 거둬서 그렇게 생각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시드머니가 크시니 1-2프로의 수익만 올려도 2천만원이라는 수익이 생기는데요. 이렇게 적은 수익률이라도 큰 수익금이 생기면 매도하면서 단기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고 생각합니다. 시드머니가 컸을때 가능한 방법이기 때문에 잦은 매수매도가 번거롭지 않고, 스트레스가 아니라면 이 또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돈 규모가 커지면 신기하게도 금액보다 퍼센트가 먼저 보입니다. 10억 중에 2천이면 2퍼센트라서 크게 설레지 않는 거죠. 코인처럼 하루에도 수천 단위로 오르내리는 자산이면 그냥 평소 변동 폭 안에 있는 느낌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정 자산 넘는 사람들은 몇 퍼센트 변동에는 무덤덤한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그 돈이 당장 써야 할 생활비나 꼭 필요한 자금이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자산의 1-2% 수익(예: 10억 기준 1천~2천만 원)은 심리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산 규모에 비례한 상대적 수익률을 비교하기 때문인데, 큰 자산을 가진 사람은 절대 금액이 커도 비율상 작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코인처럼 변동성이 큰 투자에서는 단기 수익에 둔감해질 수 있고, 장기적인 자산 관리 전략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이런 반응은 개인의 투자 성향, 목표, 감정적 민감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비슷한 경험을 하는 투자자도 많지만, 모두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절대적 금액보다는 시장 평균 수익률를 기준으로 투자를 평가해야 합니다. 얼마나 많은 금액의 자산을 갖고 있는 시장에서 무위험으로 얻을 수 있는 수익률를 기준으로 투자의 가치, 수익의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

    그리 볼 때 순자산의 2% 정도의 수익은 시장평균에 맞은 수익이라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정기예금 금리가 2~3% 때 임으로 이중 원천세(이자소득세)를 빼면 2% 초반의 수익을 얻는다면 투자를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1~2프로수익엔 당연히 다들 둔감한게 맞습니다. 보통 위험자산인 코인이나 주식을 매수해서 포트폴리오를 운용한다는것은 보통 최소 10% 특히 코인은 30~50% 아니면 배이상의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1~2%수익에 별 느낌이 없는게 맞으며 그걸 원했다면 처음부터 채권이나 상대적으로 중수익 부분인 지수형 상품을 샀지 개별주식이나 코인을 사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순자산의 1-2퍼센트 정도 수익엔 둔감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총자산 (순자산) 의 1-2퍼센트 정도 수익이면

    엄청난 것입니다.

    그러니 둔감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순자산의 1퍼센트나 2퍼세트의 상승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목표치가 높아서 일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순자산이 10억이라고 한다면 2천만원의 경우 현실에서는 누군가의 약 반년의 급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는 그 사람들마다 생각이 달라서 그렇고, 목표치가 크시니 그런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코인의 상승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라면 또는 현재 10억을 가지나 10억 이천만원을 가지나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서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원금이 커지기 때문에 기대 수익 기준이 높아진것으로 2천만원은 큰 돈이나 수익률로 평가하게 된 원인인거 같습니다. 규모가 커지면 수익에 대한 큰 감흥이 줄고 둔감해지는것은 당연하며 이를 투자 무감각 현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