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전환율이 무엇인지 궁금하고 어떻게 계산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월세 전환율이라는 용어를 들었는데, 정확히 무엇인가요? 월세와 전세를 비교할 때 어떤 기준으로 계산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보증금과 월세는 계약 사항이므로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로 상의하여 합의가 되어야 합니다.
보증금 월세 전환 관련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제9조 월차임 전환 시 산정률을 적용해보면;
(1) 대출금리와 경제여건 등을 고려한 대통령이 정하는 비율 연10%
(2) 한국은행이 공시한 기준금리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율을 더한 비율 3.0% + 2.0% = 5.0%
(1), (2)중 낮은 비율을 적용하므로 주택의 전월세 전환율은 연5.0%
예를 들어 2억원인 보증금 중 1억원을 월세로 계산해보면;
10000만원 x 5.0% = 500만원이 상한 값입니다.
월세는 5,000,000/12 = 41만6667원이 됩니다.
렌트홈에 접속하여 임대료계산기를 사용하면 손쉽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원세 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환산할 때 사용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주택의 전세금을 월세로 바꿨을 때, 그 월세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나타내는 계산식 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세는 월세로 전환할 때 적절한 월세 금액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의 수익률을 고려하는 지표로, 월세 전환을 원한는 집주인이나 임차인에게 유용 합니다.
전원세 전환율 계산법
전월세 전환율 = (월세/전세금) * 100
전원세 전환율 예신
전세금이 1억원이고, 집주인이 제시한 월세가 50만원 이라면...
전월세 전환율 = (50,000/10,000,000) * 100 = 0.5%
이 경우 전월세 전환율은 0.5% 입니다.
전원세 전환율 해석
전월세 전환율이 높을 수록 전세금을 월세로 전화했을 때 월세 부담이 커집니다.
전환율이 낮을 수록 월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입니다.
정부의 전월세 전환율 상한
정부는 전월세 전환율에 대한 규제를 두고 있습니다. 2021년 정부는 전월세 전환율 상한을 연 4%로 설정했습니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정 월세를 계산하는 중요한 지표 입니다. 이 비율은 집주인과 임차인 간의 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법적 규제나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를 월세로 전환할때 월세를 전환할때 몇 % 정도로 하느냐 하는 것입니다.
현재는 한국기준금리 3% 월차임전환시산정율 2% 해서 5% 정도 적용을 하고
환산보증금 = 임대보증금 + (월세 x 12개월) / 5% 이런식으로 계산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월세 전환율이라는 용어를 들었는데, 정확히 무엇인가요? 월세와 전세를 비교할 때 어떤 기준으로 계산하는지 알려주세요.
==> 전월세 전환율은 주임법에 규정하고 있는 사항으로 보증금 1000만원을 월세로 전환되는 법정한도는 "기준금리(3%) + 법정 한도율(2%)"입니다. 즉 1,000만원을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 약 5만원 정도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월세를 보증금을 전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입니다.
임대차보호법에 따르면 전환율은 2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1. 은행에서 적용하는 대출금리와 해당 지역의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이 정하는 비율 10%
2. 한국은행 공시 기준금리 +2%
예를들어 전월세 전환율 4.8% 1억 짜리 전세 -> 월세로 전환
이 경우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연간 480만원 (1억 * 4.8%) 즉 매달 40만 원(480만원 /12개월)을 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