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밥은 갑자기 왜이렇게 비싸진 걸까요??
모든 식자재값이 오르는건 어쩔수 없는거지만
예전엔 그래도 김밥이 한줄에 천원? 그래서 부담없이 먹고 그랬는데요.
최근에 김밥한줄 살려고 하면 기본 3~4천원 이더라고요.....;;
아무리 식자재값이 올랐어도 너무하다 싶을정도로 비싼데
이렇게 비싸진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김밥에서는 인건비, 임대료, 원자재 비용이 모두 포함되어 가격을 측정하기 때문에
물가가 2%~3%씩만 올라도 가격이 1,000원 이상 오르게 됩니다.
물가가 비싸지면 식생활 물가가 가장 먼저 오르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김밥의 가격이 오른 이유는 여러가지 야채 등 김밥 속을 이루는 재료의 가격 상승도 있지만, 주 재료인 김의 가격이 많이 인상되었기 때문 입니다. 김 값이 이렇게 오른 것은 이상기후로 인한 수온 상승으로 김 생산량이 감소한데다가 K 김밥 열풍으로 수출이 많이 되기 때문인데 작년도 김 수출액이 1조원500억원에 달하여 역대 최대치를 기록 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김을 많이 먹는 일본은 우리나라보다도 더욱 김 작황이 좋지 않아 많이 수입을 해가고 있다고 합니다.
식자재값도 많이올랐지만 인건비(최저임금)가 오른게 더 크고 가게 임대료 및 물가 전반이 올라서 그것들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모든 식자재값이 오르는건 어쩔수 없는거지만
예전엔 그래도 김밥이 한줄에 천원? 그래서 부담없이 먹고 그랬는데요.
최근에 김밥한줄 살려고 하면 기본 3~4천원 이더라고요.....;;
아무리 식자재값이 올랐어도 너무하다 싶을정도로 비싼데
이렇게 비싸진 이유가 있을까요?
==> 현재 김이 세계시장에 선풍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외국에 수출하고 있고 이로 인해서 국내에 김 공급이 부족해 가격이 오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기후변화로 김 생산이 적어진데다 한류열풍으로 김밥이 유명해져서 수출이 많아진관계로 김값이 많이 올랐습니다
원자재값이 오르다보니 김밥역시 많이 오르고 있어서 서민물가가 한없이 오르고 있는 실정입니다
서민 밥상에 김이 빠지지 않는 찬이었는데 이제는 구경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만큼 물가가 올랐다는 얘기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물가인상의 주 원인은 식자재 가격이 올라서 입니다.
김밥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밥 한그릇에 예전에 5천원 했었는데 지금은 1만원 정도 거의 2배나 뛰었습니다.
김밥의 경우 식자재 인상도 있지만, 인건비, 임대료, 품질 요구 등 다양한 경제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과거 천 원이던 김밥이 이제 3~4천 원에 이른 것은 시대적 흐름에 따른 어쩔 수 없는 변화라고 생각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무엇보다 김이 다른나라에서 인기가 생기다보니 김가격이 급등하였습니다. 그렇다보니 김밥가격상승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김양식이 기후변화에 최대 생산지인 남해안 일대의 출하량 감소로 원자재 값이 상승하여 김밥 판매 가격도 급격히 상승하게되었습니다 아울러 인건비의 상승과 한몫하였다고 봅니다
참고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