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일용직 휴게시간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용직 근로자분들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이기 때문에 당연히 근로기준법 제54조에 따른 휴게시간 적용을 받습니다.따라서 근로시간 4시간 기준 최소 30분의 휴게시간을 보장해야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8.15
0
0
올해 근로기준법이 바껴서 작년 입사자인데 월차 소진 안하면 없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연차휴가청구권은 원래 일년이 지나면 미사용수당청구권으로 전환됩니다.혹시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이 연차사용촉진이라면 1년미만 연차는 2020. 3. 31. 이후 발생한 연차에 대해서만 촉진이 가능합니다.또한 연차촉진은 법에 따른 절차를 거쳐야 가능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은 촉진은 무효이며 미사용수당은 당연히 발생합니다.입사일로부터 1년 이 지나기 3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내에 휴가일수 통지하는 등 그 절차가 상당히 복잡함을 고려할때 제대로 절차를 밟았을지는 의문이 듭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8.15
0
0
이럴 경우 일년 근무 후 퇴사시 연차를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년미만 연차는 매월, 기본 연차는 입사일 기준 매년 발생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연차 사용 기한을 당사자간 합의로 연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연차지급자체를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없습니다. 질문자님께서 1년을 채우고 나오시면 11개+15개 총 26개가 발생하며 회사가 연차 지급을 안할 경우 노동부 진정이 가능합니다.재직 중에 진정 넣기가 꺼려지신다면 퇴직 후 노동부에 연차미사용수당 미지급으로 진정 넣으시면 돈으로 받으실수 있습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8.15
0
0
계약기간 만료 전 퇴사를 하게 된 경우에 대한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회사와 근로자 간 합의로 근로관계가 종료되는 것이 바로 권고사직입니다. 근로자분이 사직서 또는 명확한 사직 의사를 밝히신다면 애초에 해고가 아니기 때문에 부당해고 문제 발생 확률은 적습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0.08.15
0
0
수습기간 해고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근속일수가 3개월 미만 근로자의 경우 해고예고 예외사유에 해당하여 즉시해고가 가능하며 수습기간을 반드시 보장할 필요는 없습니다.다만 5인 이상 사업장이시라면 정당한 해고 사유가 존재하여야합니다.
고용·노동 /
근로계약
20.08.15
0
0
퇴직 후 퇴직금 언제 받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퇴직후 임금 등을 포함한 금품은 퇴직일로 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여야합니다. 지급기일을 연장한다는 별도의 합의서를 작성한다면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는 있습니다.별도 합의서 작성하신바 없으시다면 14일 이내에 지급하여야하며 14일이 도과할 경우 지연이자(연 20%)가 발생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8.14
0
0
현재 근무중인 회사 이전으로 인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통근시간이 왕복 3시간 이상일 경우 자발적 퇴사라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만약 회사에서 통근수단을 제공하면 그 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포털사이트 최소시간을 기준으로 공단에 확인할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8.13
0
0
직장과 먼거리 이사시 퇴직후 실업급여 신청 가능하는지?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출퇴근 왕복 3시간이상인 경우 실업급여 수급 사유에 해당합니다. 다만 1. 사업장 이전, 2. 통근이 불가능한 곳으로의 전근, 3. 배우자나 부양하여야할 친족과의 동거를 위해 이사할 경우에만 가능합니다.이 중 가장 유사한 것이 3번인듯 보이나, 단순히 개인사정으로 인한 이사는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배우자와 동거를 위해 이전 하는 거소지로 거소를 옮겼다는 증명(전입신고등)과 배우자와 부부관계라는 증명, 그리고 이전한 거소지로부터 귀하가 재직중인 현 사업장과의 출퇴근 왕복 거리가 3시간 이상이라는 점(포털사이트의 거리지도)등을 증명하셔야 하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8.13
0
0
첫근무 반나절 3시간 근무후 그만두었을경우?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임금은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출근일에 퇴사하더라도 일한 시간만큼 당연히 받을 수 있습니다.최저시급에 3시간 근무하셨으니, 8,590원 * 3시간 = 25,770원 받으실 수 있겠네요.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8.13
0
0
퇴사시 잔여연차 수당 정산방법?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CPLAYOU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님의 연차는 회계연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2020. 1. 1. 자로 16개가 발생합니다.입사일 기준으로 할 경우 2020. 7. 31. 자로 17개가 발생하네요.17개를 기준으로 9개를 차감하였다면 정상적으로 정산된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8.13
0
0
865
866
867
868
869
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