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물은 정확히 백도에서 끓는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끓는 점이 100도 라는 것이지 무조건 100도가 되어야 끓는것은 아닙니다. 끓이는 도구나 대기압등 여러 요인에 의해서 100도가 안되어도 끓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2.20
0
0
세제의 어떤 성분이 이물질을 없애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세제는 기본적으로 계면활성제입니다. 계면활성제는 섞이지 않는 두 계를 섞일수 있도록 해주는 물질입니다. 유용성도 수용성도 모두 세탁조 안에서 물과 섞이게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됩니다. 특정 성분이나 특정 상황에 더 잘 제거가 되는 세제의 경우 그에 걸 맞는 다른 성분이 들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2.20
0
0
공룡이 멸종하게 된 정확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의 질문 그대로 모든것은 가설입니다. 가설이라는것은 주장을 세워 놓고 증명해 나가는 것이지 그게 100% 사실일수는 없습니다. 최근에는 지구의 나이에 대해서도 이런저런 가설들이 많이 나오고 예전 가설이 사실이 아니다라고도 하고 있기 때문에 공룡 멸망의 원인을 정확하게 알기란 어려울것 같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20
0
0
거울이 없던 옛날에는 거울 대신 어떤 물건을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가 말씀하신대로 물이나 호수에 비춰서 봤을수도 있고 일반적으론 아마 금속(구리나 청동)등을 활용하여 그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거울 대신 사용하였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20
0
0
화학적거세는 어떤것을 시행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고환에서 남성호르몬(testosterone) 분비되는 것을 약물로 이 과정을 차단하면 남성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수술로 거세를 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을 화학적 거세라고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2.20
0
0
추운날 생수병을 치면 얼음이 어는 이유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께서 문의 하신 현상을 과냉각 상태라고 합니다. 이미 얼음이 되어야 하나 어느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얼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 상태에서 갑자기 충격을 받게 되면 과냉각 상태가 풀리면서 얼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20
0
0
황화수소중독이 인체에 어떤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황화 수소는 낮은 농도일때 달걀 썩은 냄새로 황화 수소 노출을 파악 할 수 있지만, 고농도의 황화수소에 노출되면 후각이 마비되어 질식의 위험을 느끼지 못하며 호흡기와 신경계를 자극하여 신경마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독증상이 심해지면 사망으로 이어질수도 있습니다. 주로 밀폐된 공간에서 송기 마스크 없이 환기가 부족한 상태에서 작업이 그 원인이 됩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일산화탄소는 어떤 물질이며,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연료가 연소할 때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는 기체입니다. 사람의 폐로 들어가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보급을 가로막아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위험한 기체입니다.일산화 탄소 중독은 산소 부족으로 생길 수 있으므로, 작업시 밀폐된 곳에서 작업을 하지 않는등 주의가 필요합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냄비나 그릇에 뚜껑을 덮고 끓이면 왜 빨리 끓여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온도가 높을 수록 더 많은 물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서 대기 중으로 날아갈 수 있을만큼 뜨거워지고 그로 인해 더 많은 수증기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수증기는 많은 에너지를 갖고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수증기를 공기중으로 날려보내지 않고 뚜껑을 닫아 물을 끓이는데 다시 사용되게 되면 물이 더 빨리 끓어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19
0
0
식물들중 물이 없어도(최소로) 살수 있는 식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아예없이 살수 있는 식물은 없을듯 합니다. 선인장과 같은 식물도 수분을 저장해 놓고선 식물이 가지고 있는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여 생활하는것이지 수분이 없이 생활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이 없이 살수 있다기 보단 각각의 식물의 자신만의 물저장과 순환을 통해 살아가고 있는것이고 거기에서 차이가 있어서 일부 식물은 물은 자주 주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9
0
0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