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호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호석 전문가입니다.
강호석 전문가
리원 인사노무컨설팅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임금·급여
2024년 8월 26일 작성 됨
Q.
퇴직금 지급 조건은 무엇인가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호석 노무사입니다.퇴직금은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1년 이상 계속근로(재직)하고 퇴사하는 경우 지급되니다.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제9조의 규정에 따라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하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의하여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고용노동부의 퇴직금 계산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https://www.moel.go.kr/retirementpayCal.do감사합니다.
휴일·휴가
2024년 8월 26일 작성 됨
Q.
근로시간 면제(타임오프) 제도라는것이 뭔가요? 처음들어보는데요.
안녕하세요. 강호석 노무사입니다.근로시간면제제도는 노사 공동의 이해관계에 속하는 노조 활동을 유급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고용노동부 장관이 고시한 근로시간면제 한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근로시간면제 시간·인원을 정할 수 있습니다.해당 근로시간면제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노동조합에 대한 부당한 지원으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노무상담
2024년 8월 26일 작성 됨
Q.
퇴사를 말씀드린 후에 해고예고수당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호석 노무사입니다.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근로기준법 제26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또한,근로자가 원하는 사직일보다 회사가 일방적으로 사직일을 앞당겨 사직처리하는 경우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을 위반한 부당해고로 볼 수 있습니다.따라서 그런 경우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해고예고수당을 요청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8월 22일 작성 됨
Q.
퇴사시 미사용 연차 수당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호석 노무사입니다.남아있는 미사용 연차에 대해 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요?받을 수 있습니다.11개 모두에 대해서 수당을 받을 수 있는건가요?받을 수 있습니다.수당으로 받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9.18이후로 연차를 모두 소진하고 11일 뒤로 퇴사일을 지정하는게 나을까요?연차 소진이 일반적으로 유리합니다. 감사합니다.
임금·급여
2024년 8월 19일 작성 됨
Q.
급여에연차수당포함 최저임금해당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호석 노무사입니다.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근로기준법 제48조제2항에 따라, 2021년 11월 19일부터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 근로자에게 임금명세서를 교부하여야 합니다.특히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임금명세서는 해당 월의 실제 근로한 연장·야간·휴일 근로시간 수, 통상시급, 가산율이 명시된 계산방법으로 작성해야 합니다.감사합니다.
306
307
308
309
3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