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바른삼성정형외과의원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푹신한 침대 허리통증 방사통 잘때 자세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옆으로 누워서 주무시는 경우는 무릎 사이에 베개를 두어 엉덩이와 허리의 정렬을 유지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허리의 압박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로 자는것이 좋습니다 이때 다리를 너무 펴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바로 누워서 주무시는경우 무릎 아래에 베개를 두어 허리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허리 아래에 작은 베개나 수건을 두어 허리의 곡선을 지지해 주는것도 도움이 됩니다너무 높은 베개는 목과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적당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푹신한 침대가 불편하면 단단한 매트리스 패드를 깔아보는것도 고려해볼수있습니다일단 가벼운 걷기운동을 30분정도 매일 꾸준히 해주는것이 좋아보입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인공 고관절수술에 관하여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인공 고관절 수술은 고관절의 통증완화 및 기능회복이 주된이유이고 주로 관절염 골절 또는 고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수술 후 1~2일 내에 병원에서 퇴원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보조기구를 사용해서 이동합니다일반적으로 3~6개월의 재활기간이 필요하고 이기간 동안 물리치료와 운동을 통해 근력을 회복하고 관절의 가동범위를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수술 후 일주일은 일상적인 활동은 가능하나 무리한 움직임은 피해야합니다수술 후 한달은 가벼운 걷기정도가 가능하고 물리치료를 통해서 근력을 강화하셔야합니다수술 후 3개월은 대부분의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운동강도를 높여가는 시기입니다수술 후 6개월은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정상적인 활동을 할수있으며 가벼운 스포츠활동도 가능합니다수술비용은 1000~2000만원까지 차이가 납니다보험적용이 되면 200~500정도로 줄어듭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오른쪽 무릎에 열감이 느껴지는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 관절이나 주변조직에 염증이 생기면 열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관절염 건염 또는 힘줄의 염증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운동이나 활동을 통해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했으 경우 무릎에 피로가 쌓여 열감과 땡기는 느낌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헬스를 시작한 후에는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거나 특정 자세로 인해 혈액이 고이면 열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밤에 심해진다면 수면 자세와 관련이 있을 수있습니다신경이 압박받거나 작그을 받으면 열감이나 땡기는 느낌이 발생합니다 이는 신경이 지나가는 경로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납니다일단 무리를 하지말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시는게 좋고 열감이 느껴지는 부위에 냉찜질을 해주면 염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팔꿈치 뚝뚝 걸리는 느낌 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팔꿈치 관절이 불안정할 경우 팔을 굽혔다 폈다 할때 관절이 정상적인 경로를 따라 움직이지 않고 걸리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팔꿈치 주변의 힘줄이나 인대가 뼈와 마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특히 덤벨컬이나 바벨컬과 같은 운동을 할 때 팔꿈치의 위치가 변하면서 마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팔꿈치의 구조적 변화나 관절염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마나 19세의 나이에 이런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은 드뭅니다나머진느 운동하실때 자세가 잘못되면 팔꿈치에 불필요한 압력이 가해지고 이로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 지금보기에는 이게 제일 큰 문제로 보입니다 자세를 점검해보시길 바랍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손목을 돌릴때마다 손목에 통증이 있는데 병명이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손목을 돌릴때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특정한 병명으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와 정보가 필요합니다손목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부상을 입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통증과 함께 부종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손목의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로 손목을 움직일때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반복적인 동작이 원인이 됩니다드퀘르뱅증: 엄지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손목을 돌릴때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퇴행성 관절염: 나이가 들면서 관절의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경우 손목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류마티스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으로 손목관절에 염증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수근관 증후군: 손목의 신경이 압박받아 통증 저림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나머지는 골절이나 관절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통증이 발생합니다일단 병원에 가셔서 검사를 해보셔야 정확한 병명을 알 수 있을것이라고 보입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복숭아뼈에 물이 차는데 원인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복숭아뼈에 물이차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관절삼출이라고 불리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다리에 외상이 있었거나 넘어지거나 부딪힌 경우 관절에 염증이 생기고 체액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나이가 들면서 관절의 연골이 닳아 없어지는 경우 관절에 염증이 생기고 체액이 차는 경우가 많습니다류마티스같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관절에 염증을 일으켜 체액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세균이나 바이러스로 의해 관절이 감염되면 염증이 생기고 체액이 차는경우가 많습니다통풍은 요산이 관절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이로 인해 체액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나머진느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거나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체액이 몸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어깨가 뭉쳤다고 주물러 주는것도 함부로 하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어깨 통증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근육의 긴장 염좌 관절문제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알지 못한 상태에서 강한 압력을 가하는것은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강한 압력으로 주물러 주는 것은 근육이나 인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이미 긴장된 근육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염증이 있는 부위에 강한 압력을 가하면 염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각 사람의 통증감각은 다릅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강한 압력이 시원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매우 아프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통증을 무시하고 강한압력을 받는것은 좋지않습니다어깨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 가셔서 검사를 받으시고 치료를 받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난소암이 뇌로전이된 뇌졸중 환자의 완치 경우와 탈골 문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탈골된 팔이 뇌졸중 증상이 좋아지면 회복될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는 뇌의 특정부위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팔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증상이 개선되면 팔의 기능도 회복될 수 있지만 탈골된 상태가 지속되면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탈골된 팔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뇌졸중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탈골이 치료되지 않으면 팔의 기능 회복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일단 탈골되었으면 가능한 빨리 병원에 가는것이 좋습니다 뇌졸중증상이 좋아질때 까지 기다리는것보다 현재의 상태에서 치료를 받으셔야하고 늦을수록 팔의 기능회복이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난소암이 뇌로 전이된 경우 암의 진행상태가 뇌졸중 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난소암이 치료되어 상태가 개선되면 뇌로 전이로인한 증상도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뇌졸중 후 회복과정에서 언어기능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언어장애는 뇌의 특정부위가 손상되면서 발생하는데 재활치료를 통해 언어 기능이 회복될 수 있습니다 언어치료를 통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이는 뇌졸중 증상이 개선되는 과정에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이석증 머리어지럼증 자가치료방법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에플리 기법: 이기법은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러움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입니다 귀의 내이에서 이석이 잘못된 위치에 있을 때 이를 원래위치로 되돌리는 방법입니다의자에 앉아 머리를 어지로운 쪽으로 45도 기울입니다, 머리를 뒤로 젖혀서 30초간 유지합니다, 머리를 반대쪽으로 돌리고 다시 30초간 유지합니다, 몸을 옆으로 돌려서 30초간 유지한 후 천천히 일어납니다 이와같은 방법을 사용하시지만 너무 어지러울때는 하지않습니다브랜드 다로프 운동침대에나 의자에 앉아 한쪽으로 눕습니다 , 30초간 유지한 후 반대쪽으로 눕습니다 , 이 과정을 하루에 10회반복합니다이석증은 자가치료가 어느정도 가능하고 에플리 기법이이나 브랜드 다로프 운동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을 통해 귀의 내이에서 이석이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다리가 무겁고 아픈 증상이 생겼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오랫동안 앉아 있으면 다리의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무겁고 아픈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이는 정맥의 압력이 증가하고 혈액이 고이게 되어 발생합니다 다리를 눌렀을 때 눌린 자리가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부종의 증상입니다 부종은 체액이 조직에 축적되어 발생하며 이는 혈액순환문제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장시간 앉아 있으면 다리의 근육이 긴장하고 피로해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하체근육이 약한경우에 이러한 증상이 심해집니다다리가 무겁고 피로감을 느끼는 것은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일단 장시간 앉아있거나 가만히 서있는경우 움직임을 가져주면서 스트레칭하면서 짧은 산책이든 움직임을 만들어주는것이 좋습니다앉아 있을때 다리를 올려주고 부종을 줄이고 혈액순환을 개선하셔야합니다결론은 혈액순환과 관련이 있으며 장시간 앉아있어 심해지니 자주 움직여 주셔야합니다
1261271281291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