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트럼프 관세 정책이 케이팝에도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시 일관되게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관세 부과를 주장해왔습니다. 최근에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8월 1일부터 모든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일괄 적용하겠다는 공식 서한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이는 일종의 상호 관세 개념으로, 상대국이 미국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에 상응하는 수준의 관세를 미국도 부과하겠다는 것입니다. 만약 실제로 한국산 앨범과 굿즈에 25%의 관세가 부과된다면, 미국 내 소비자 가격은 당연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K팝 앨범이나 굿즈는 이미 배송료 등을 포함하면 가격이 저렴하지 않은 편인데, 여기에 25%의 관세가 추가된다면 팬들의 구매 부담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Q. 비트코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일부 전문가들은 비트코인이 7월 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강세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2025년 8월까지 14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심지어 2025년 비트코인 가격이 20만 달러에서 25만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이러한 전망의 배경에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반감기 등의 호재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비트코인의 높은 변동성과 레버리지 투자 과열 양상을 경고하는 목소리도 큽니다. 비트코인 시세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붕괴 위험도 커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정부나 금융기관의 보장이 없으며, 해킹이나 사이버 공격에 취약할 수 있고, 규제 환경 변화에 따라 가치가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Q. 젊을때 적당히 즐기고 사는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물론 미래를 위한 저축과 준비는 중요하지만, 현재의 행복을 지나치게 희생하면서 오직 미래만을 위해 사는 것은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늙어서 몸이 불편하거나 기회가 사라지면 하고 싶어도 못하는 일들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젊을 때의 경험, 즉 여행, 맛있는 음식, 문화생활 등은 단순히 돈을 쓰는 행위를 넘어, 삶을 풍요롭게 하고 시야를 넓혀주는 귀중한 자산이 됩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나중에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소중한 추억과 지혜로 남습니다. 너무 아등바등 돈만 좇다 보면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치고 번아웃이 올 수 있습니다. 적절한 소비와 휴식은 삶의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적으로 목표를 향해 나아갈 힘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