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역 담당자 입장에서 WTO 무역축소 경고는 실무에 어떤 영향인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wto 전망처럼 교역 축소 가능성이 높아지면 기업은 수출입 데이터를 세분화해 위험도가 높은 시장과 품목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토대로 거래처 다변화, 가격 조정, 물류 루트 변경을 검토해 리스크를 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가별 통상정책 변화와 관세 동향을 꾸준히 모니터링해 계약 조건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환율원자재 가격 등 주요 변수에 대한 시나리오별 대응책을 마련해 두면 변동성이 커져도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Q. 무역 수출 위한 대미 자동차 관세 협상, 실무 준비는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미국과 일본 간 자동차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일본산 차량과 부품이 미국 시장에서 세제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져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불리할 수 있어 친환경차, 전기차 등 차별화된 모델과 서비스 중심으로 전략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나 fta 활용을 통한 관세 절감 방안을 모색하고, 공급망을 다변화해 일본과 직접 경쟁하는 품목 비중을 줄이는 방향도 검토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Q. 무역 수출 확대 위한 한미 협력 패키지 영향은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한국이 추진 중인 1000억불 규모 협력 패키지는 선박, 해양플랜트 등 대형 프로젝트 중심으로 글로벌 발주 확대와 금융지원이 연계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수출기업들은 해외 조달 조건 변화, 금융보증 지원을 활용한 대형 계약 체결 기회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국제 입찰 참여 절차, 현지 조선해양 설비 규제, 공동개발 프로젝트에 따른 계약 구조 변화 등을 사전에 검토해 리스크를 줄이고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