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병원 보조원 연차 강제사용 불법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1. 휴게시간 없는 일 8시간 근무 불법?근로기준법 제54조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휴게시간을 부여해야 합니다. 취업규칙 등에 휴게시간을 부여하진 않는다고 규정하였더라도 근로기준법을 위반하는 내용이므로 무효에 해당합니다.2. 연차 강제사용연차휴가는 근로기준법 제 60조 제5항에 따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부여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며, 근로기준법에 따른 연차휴가의 사용촉진은 '발생한 연차휴가의 사용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근로자에게 1차 촉진을 하여야 하며, 근로자가 1차 촉진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사용시기를 정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차휴가의 사용기간이 끝나기 2개월 전을 기준으로 2차 촉진(사용자가 사용시기를 지정하여 근로자에게 통보)을 해야합니다. 아울러, 이는 서면으로 개별적으로 통보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에, 질문자님이 이러한 통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강제로 연차휴가를 소진시킨다면 근로기준법 위반에 해당합니다.이에, 1, 2번 사항 모두 근로기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보이며, 사업장을 관할하는 노동지청에 진정 등을 제기하실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주말 알바에게도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에 해당하므로 1년 이상 근로 후 퇴사한다면 퇴직금이 발생합니다. 이에, 사용자는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퇴직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하며,평균임금은 이를 산정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퇴사일) 이전 3개월 동안에 그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의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을 말하며, 임금총액은 근로의 대가로 지급 받은 임금을 의미하므로 기본급뿐만아니라 연장근로수당 등 각종 수당을 포함한 임금을 의미합니다.이에, 퇴직금은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일)로 산정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