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류형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전문가입니다.
류형식 전문가
류형식 노무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근로자를 퇴근조치시 수당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원칙적으로 근로자의 근로제공이 없는 시간에 대하여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습니다. 다만, 근로자에게 유리하게 유급으로 이를 보장해 주어도 법률상 아무런 문제는 없습니다. 유급병가(반차) 등을 시행한 것으로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제가 입사를 4월29일에 했는데 회사에서 7월 달로 신고 했더라구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4대보험 취득일 변경신고를 진행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에, 회사에 이를 실제 입사일로 수정하여 줄 것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육아휴직 중도 복직자 퇴직적립금 적립방법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연간임금총액-육아휴직 중 지급된 임금)/(12-육아휴직기간) 으로 산정하시면 될 것입니다. 즉, 육아휴직기간을 제외한 임금총액을 (12개월-육아휴직기간)으로 나누어 퇴직적립액을 산정하시면 될 것입니다.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 이잖아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긍정적 효과는 임금과 소득불평등 축소되며, 가계소득과 가계소비를 증가시켜 경기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보인다고 보고 있으며 부정적인 효과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물가를 상승시키고 민간소비 및 설비투자를 위축시켜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주휴수당 계산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주휴수당은 1주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며, 소정근로일을 모두 개근한 경우 발생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정확한 소정근로일 등을 알 수 없으나, 대략적으로 1주 25시간이 소정근로시간에 해당하므로 1주의 주휴수당은 5시간에 해당하는 임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에, 5시간 x 약정 또는 통상시급으로 산정하시면 될 것입니다.
576
577
578
579
5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