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전문가입니다.
김형준 전문가
청라 노동법률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근로계약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경영악화로 인한 자진퇴사 실업급여 문의드려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회사에서 일방적으로 임금을 20%이상 삭감하면 자발적 퇴사라도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근로계약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퇴직금 수령후 퇴사일 수정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이미 사직서에 퇴사일을 기재하여 사용자에게 제출하였으므로 사용자의 동의 없이는 임의로 철회할 수 없습니다.
임금·급여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주휴수당에 관해 질문할게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급여기준 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기간이 8.1.~8.30.이면 9.1. 주휴수당이 발생하므로 9월에 포함됩니다.2번의 경우 9월 급여에서 공제됩니다.
휴일·휴가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10월 1일이 임시 휴일이잖아요. 그렇다면 국군의 날에 군인들은 무엇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국군의날에는 대부분의 군부대에서는 공휴일과 유사하게 휴무를 하고 일부 행사 등을 하는 군부대에서는 행사에 참가하게 됩니다.
임금·급여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퇴직금 연차 반영시 회계입사년도 정산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입사연도로 계산하는 것이 원칙이나 회사 편의에의해 회계연도 기준으로 산정하되 입사연도보다 불리해서는 안되며 질문자님과 같이 입사연도가 회계연도보다 더 적게 연차가 지급된다고 하더라더도 불리한 것이 아니므로 재정산할 수 없습니다. 다만 취업규칙이나 근로계약서에 그러한 내용을 규정하였다면 가능합니다.참고로 일률적으로 연차를 퇴직금 산정을 위한 평균임금에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퇴직 전년도에 지급된 미사용 연차수당의 3/12만큼 반영됩니다.
휴일·휴가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1년 이상 근무 시 연차갯수 발생에 대한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1년 미만 기준으로 발생하는 연차 11개는 23.8.1.~24.7.31.까지 사용가능하므로 기간도과시 소멸됩니다.그리고나서 24.8.1.에 15개가 발생하게 됩니다.다만 회사에서 이월을 인정해주었고 연차 11개 중 미사용 연차에 대한 수당을 지급하지않았다면 지급해야하니 26개 중 8개 제외하고 18개에 대한 연차수당이 지급되어야 합니다.
직장내괴롭힘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직장에 다니는 사람이 주변에 있는데 선배들의 갑질로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만약에 그 사람이 그만 둔다면 직장내 따돌림을 인정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1항에서 누구든지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그 사실을 사용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퇴사 후에도 가해자에 대한 신고가 가능하고 회사에서는 신고를 받으면 적정한 조치를 취해야합니다.직장내괴롭힘이 인정된다면 자발적 퇴사라도 실업급여 인정이 가능합니다.
휴일·휴가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10월1일 임시 공휴일 이면 공휴일과 동일한 빨간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임시공휴일 역시 일반적인 공휴일과 동일하므로 근무시 휴일근로가 되므로 휴일근로수당이 발생하게 됩니다.
근로계약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이직확인서 반려, 회사에서 처리를 안해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사업주는 근로자 퇴사 후 이직확인서를 제출해야하며 미제출 시 근로자가 요구한날로부터 10일 이내에 고용센터에 제출해야하고, 근로자가 2회 이상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을 하였음에도 사업주가 거부하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단 요청을 했다는 증빙이 필요하므로 녹취, 문자 등 증빙을 확보하시기 바라고 사업장 관할 고용센터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임금·급여
2024년 9월 4일 작성 됨
Q.
연봉제 근로자도 연장근무수당,야간근무수당,휴일근로수당 등 각종수당을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형준 노무사입니다.포괄임금제 근로자라서 각종 수당을 합한 금액을 연봉으로 지급받는다하더라도 연봉에 미리 산정된 연장근로시간을 초과하여 연장근로를 한다면 그에 대해 추가로 요구할 수 있습니다.
781
782
783
784
785
카카오톡
전화 상담